
경기도가 최근 영·유아 중심으로 수족구병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며 도민들의 주의와 관심을 당부했다.
3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30주차(7.17~7.23) 경기도 내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외래환자 1천 명당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환자 비율)은 30.3‰로 2020년 30주차 3.0‰, 2021년 30주차 2.3‰보다 10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0세 95‰, 1~6세 167.7‰로 6세 미만에서의 발생이 많았는데, 어린 영아의 경우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하지 않아 무균성뇌수막염, 뇌염, 뇌척수염, 쇼크 및 급속한 사망 등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족구병’은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또는 대변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며, 증상은 보통 경미해 대개 7~10일 내 저절로 없어지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수족구병은 예방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이 최선의 예방 방법이다.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기침 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침 예절을 준수해야 한다.
또 아이들의 장난감·놀이기구·집기 등을 청결하게 소독하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는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등원 중지 및 귀가 조치를 해야 한다.
박건희 도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코로나19 방역에 따라 수족구병 환자 발생이 줄었다가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5월부터 수족구병 발생이 급상승하고 있다”면서 “가정은 물론 휴가지나 어린이집 같은 보육시설에서의 감염예방수칙 준수와 위생관리가 더욱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