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경기버스정보앱’을 통해 ‘버스 정류소 주변 개방화장실 유무’, ‘과거 버스 도착시각’ 등 새로운 정보제공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먼저 ‘버스 정류소 주변 개방화장실 유무’ 정보제공을 통해 ‘경기버스정보앱’에서 버스 정류소를 검색하면, ‘화장실 아이콘’을 통해 개방화장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3월부터 도내 일부 버스 정류소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했고, 이후 12월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거친 뒤 이달부터 도내 141개 버스 정류소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주로 ‘역사’, ‘터미널’, ‘행정복지센터’ 주변 버스 정류소가 대상이다. 단, 정류소에서 개방화장실까지의 경로 안내는 제공하지 않는다.
또 ‘과거 버스 도착시각’ 정보제공도 시범 시행한다.
현재 운영 중인 버스정보시스템으로는 노선 운행 중인 버스가 없으면 버스 도착 예정 시각을 생성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버스가 차고지에서 출발하기 전까지 정류소전광판과 스마트폰 앱에는 ‘차고지 대기’로만 안내돼 언제 버스가 도착하는지 예상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하루 운행회수가 적고 배차간격이 긴 버스노선의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고자 이번 서비스를 마련했다.
‘과거 버스 도착시각’ 정보제공은 ‘차고지 대기’처럼 도착 예정 시각 안내가 없더라도 도착시각을 예측할 수 있도록 버스·정류소의 1일 전, 2일 전, 7일 전 등의 실제 도착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도는 우선 일 운행횟수 3회 이하인 버스노선을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앱에서 이용하려는 노선과 정류소를 선택한 뒤 ‘과거운행기록 보기’ 버튼을 누르면 과거 버스 도착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박노극 교통국장은 “이번 서비스는 향후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점차 발전시키며 확대해나갈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버스정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