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내 49개 하천 133개 지점 중 78.2%인 104개 지점이 ‘좋은 물’(1~2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도에 따르면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남한강, 북한강, 한강, 안성천, 시화호 등 49개 하천 133개 지점에서 환경부와 공동으로 수질 결과를 매달 측정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평가 결과 133개 지점 중 104개 지점이 ‘하천의 생활 환경 기준’ 2등급(약간 좋음)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 표본으로 처음 조사된 2012년 평가 결과(80개 지점. 59.7%)와 비교 시 18.5%p 높으며, 2020년 평가 결과인 좋은 물 비율 73.1%보다 5.1%p 높다.
1등급과 2등급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3.0 mg/L 이하로,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 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수질이다.
주요 사례를 보면 경안천, 의암댐, 홍천강, 청평댐, 팔당댐, 임진강 상류, 임진강 하류, 한강 하류는 하천 내 전 지점이 ‘좋은 물’로 분석됐다.
수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던 안성천 수계(26개 지점)의 좋은 물 비율은 2012년 30.8%(8개 지점)에서 2021년 42.3%(11개 지점)로 향상하는 등 수질이 개선됐다.
연구원은 환경시설에 대한 투자와 민·관의 노력 등 다양한 수질개선 정책이 수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했다.
박용배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가 도내 시‧군의 지속적인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매년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라며 “도내 하천 및 호소의 수질조사 결과를 자세히 반영한 자료인 만큼 필요한 곳에서 유용하게 쓰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는 도내 하천‧호소에 대한 수질개선 기초자료 확보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2018년부터 발간되고 있다.
보고서는 도내 시·군 등 관련기관에 배포되고, 연구원 누리집에도 게시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