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자치경찰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를, 시급히 근절해야 할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로는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남‧북부자치경찰위원회는 경기도민 4006명을 대상으로 자치경찰제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31%가 자치경찰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돼야 하는 정책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를 선택했다.
이어 23%가 교통안전 확보를, 20%가 학교폭력․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보호를, 10%가 지역 맞춤형 범죄예방을, 9%가 지역주민 참여․소통 강화를 답했다.
가장 시급히 근절해야 할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로는 29%가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를, 25%가 ‘성범죄’를 골랐다.
이어 12%가 아동학대, 8%가 노인학대, 8%가 가정폭력, 5%가 장애인 대상 범죄를 선택했다.
생활안전 분야에서 가장 위협받는 장소로는 31%가 ‘유흥, 번화가 등 상업지역’, 20%가 ‘노후주택 밀집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는 상업지역과 구도심 지역의 범죄 예방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가장 효과적인 범죄 예방 활동으로는 37%가 ‘방범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범죄예방 시설물 설치를, 32%가 ‘범죄 취약지역 환경 개선’을 답했다.
교통안전 분야에서 가장 위협이 되는 요소로는 ‘이륜차 법규위반(33%)’을 가장 많이 선택하는 등 오토바이와 전동킥보드 등의 무분별한 불법 주행에 대해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 밖에 분야별 치안 안전도 인식 조사 결과 거주 지역 생활안전 분야는 76%, 교통사고 안전 분야는 63%, 사회적 약자 안전 분야는 62%의 응답자들이 ‘안전하다’고 답변했다.
이번 조사는 도가 여론조사 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7월 28일부터 31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도민 4006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했다.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1.5%p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