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쉽게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비대면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를 앞두고 금융권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차주들의 이자 부담을 상당 부분 덜어줄 것이라는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오면서 대환대출 플랫폼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주 업계 간담회를 거쳐 인프라 구축을 마무리하고 이달 말 대환대출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 은행 19개, 저축은행 18개, 카드사 7개, 캐피탈사 9개 등 총 53개의 금융회사와 23개의 대출비교 플랫폼이 참여한다. 우선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인프라가 구축되며, 당국은 올해 안으로 주택담보대출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 간 경쟁촉진 지시에 따라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에 본격 나섰다. 당국이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은 은행,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 등 금융회사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비교하고 바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주로 대출금리 비교용으로 쓰였던 기존 서비스와 달리 금융사 간 대출금 상환절차를 전산화해 상품 비교부터 대환신청, 대출실행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다.
이에 대환대출 플랫폼을 모객의 기회로 삼으려는 핀테크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보다 많은 금융사의 상품을 플랫폼에서 제공하고자 제휴처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실제 네이버파이낸셜은 최근 저축은행중앙회와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토스는 지난 3월 약 60여 개 금융사의 여신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다만 대환대출 플랫폼의 기능이 단순 금리비교와 신청에 불과할 경우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실제로 대출을 갈아타려면 금리 외에도 우대 조건, 한도, 연계 금융상품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대출을 옮겨 간다는 건 주거래 은행을 바꾼다는 의미랑 같다"며 "은행과 대출만 거래하는 것이 아닌 만큼 여러 요건들을 플랫폼이 얼마나 맞출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서 대출금리 비교 플랫폼이 출시되고 대출 시장의 메기가 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며 "단순 비교와 신청만으로는 시장의 큰 변화를 도모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