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이후에도 미취업 상태인 '청년 백수'가 126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학력이 대졸 이상이었으며, 졸업 후 평균 첫 취업 소요 기간은 10.4개월에 달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 841만 6000명 가운데 재학·휴학생을 제외한 최종학교 졸업자(수료·중퇴 포함)는 452만 1000명이고, 이 중 126만 1000명이 미취업 상태였다.
마이크로데이터로 미취업 졸업자의 세부 특성을 살펴보면, 4년제(45만 1000명) 및 3년제 이하(21만 5000명) 대학 졸업자가 66만 6000명, 대학원 졸업 이상자가 1만 2000명으로 대졸 이상자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고졸(52만 4000명), 중졸(4만 8000명), 초졸 이하(1만 명) 등 고졸 이하의 비중은 46.2%였다.
미취업자들은 주로 직업훈련(4.7%)을 받거나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도서관 등에 다녔다(36.2%)고 응답했다.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25.4%)는 응답도 4명 중 1명꼴로 나왔다.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도서관에 다녔다는 비율은 4년제 대학 졸업자(61.2%)에게서 특히 높았다. 오랜 시간과 자원을 들여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위해 추가로 더 공부할 필요가 있었다는 뜻이다.
4년제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 기간은 5년 1.4개월(남자 6년 0.4개월·여자 4년 5.5개월)이다. 졸업 후 취업 경험이 있는 전체 청년은 394만 7000명이고 이 가운데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은 386만 5000명이었다.
평균 첫 취업 소요 기간은 10.4개월이었지만, 3년 이상 걸린 경우도 32만 4000명(8.4%)에 달했다. 첫 취업에 2년 이상 걸린 청년까지 범위를 넓히면 59만 1000명(15.3%)이었다.
취업 유경험자 중 최근 일자리가 전공과 매우 일치(25.9%)하거나 그런대로 일치(24.7%)한다고 응답한 사례는 50.6%에 그쳤다. 약 절반이 전공과 무관하게(매우 불일치 38.6%·약간 불일치 10.8%) 취업했다는 뜻이다.
한편 청년층 인구의 첫 직장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7개월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0.2개월 줄었다. 평균적으로 학교를 졸업한 뒤 약 10개월 만에 첫 직장을 구하고 이후 1년 반 만에 그만두는 셈이다.
첫 직장을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45.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시적·계절적인 일의 완료 및 계약 기간 종료’(14.7%), ‘건강·육아·결혼 등 개인·가족적인 이유’(14.6%), ‘전망이 없어서’(9.1%) 등이 뒤를 이었다.
[ 경기신문 = 백성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