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한은 "국내기업, 팬데믹 이후 가격 '자주' 올렸다"

한은, 팬데믹 이후 기업의 가격 조정행태 분석
제품 가격 6개월마다 변해…한 번에 20~25%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이 과거에 비해 제품 가격을 더 자주 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물가 시기 기업의 가격 인상 빈도가 잦아지면서 물가상승률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발간한 ‘BOK 이슈 노트: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은 가격 인상 빈도를 늘렸다. 반면, 가격 조정 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들은 할인 등의 일시적 가격조정을 늘리거나 품목별로 가격 조정 빈도를 조절하면서 고물가에 대응했다.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국내 기업들은 6개월에 한 번씩 가격을 조정했다.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일시적 조정 제외)는 기존(2018~2021년) 월평균 11% 수준에서 팬데믹 이후 고물가 기간(2022~2023년) 중 15.6%로 크게 상승했다. 상품 가격 평균 유지 기간은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반면 인하 빈도와 가격 조정 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 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생필품 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됐다.


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을 포함한 가격 조정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존에는 인상 빈도가 13%, 인하 빈도가 약 14%에 머물렀지만, 고인플레 시기엔 인상과 인하 빈도 모두 16~18% 수준을 보였다.


가격조정 빈도는 품목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주류는 가격이 경직적으로 조정되는 반면, 음료나 조미료는 좀 더 유연하게 조정됐다. 팬데믹 전후로 비교해 보면, 수입원재료 비중이 높아 2022년 이후로 비용 인상 압력이 높았던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다 '빈도'를 조정하면서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유가 상승 등 충격의 크기가 크거나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 인상 빈도도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가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됐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 폭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며 "향후 물가 상황 판단 시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