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8.8℃
  • 구름많음강릉 25.1℃
  • 구름많음서울 19.8℃
  • 구름많음대전 22.0℃
  • 맑음대구 24.7℃
  • 맑음울산 22.1℃
  • 구름조금광주 19.8℃
  • 맑음부산 18.8℃
  • 구름조금고창 19.8℃
  • 맑음제주 18.7℃
  • 구름많음강화 16.4℃
  • 구름많음보은 21.4℃
  • 구름많음금산 20.8℃
  • 맑음강진군 18.9℃
  • 맑음경주시 22.8℃
  • 맑음거제 17.5℃
기상청 제공

정부, 성장률 전망 상향 나서나…2% 후반까지 검토

1분기 GDP 1.3% 깜짝 성장 영향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서 업데이트
2분기 역성장·내수둔화 여부 관건

 

우리나라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을 크게 웃돌면서 정부가 연간 성장률 상향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4~5월 실물경기 흐름을 보고 6월 하순 이뤄지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성장률 수정치를 내놓을 전망이다. 국내외 민간 투자업계에선 연 2.2~2.8%에 이르는 수정 전망치를 속속 내놓고 있다.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기재부는 오는 6월 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수정된 우리나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할 준비를 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1분기 실적 호조, 주요 국내외 기관의 성장 전망 상향 추세 등을 감안할 때 올해 성장률이 정부 전망치(2.2%)를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여건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1.3%(전분기 대비·속보치)로, 시장 컨센서스(0.6%)를 대폭 뛰어넘었다. 당초 기재부는 GDP가 분기별로 대략 0.5~0.6%씩 불어난다는 시나리오 하에서 연간 2.2% 성장률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1분기에 0.7~0.8%포인트(p) 초과 성장한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연간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기재부 내부에서는 다양한 예상 경로를 고려하면서도 연 2.5%를 웃돌 것이란 시각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2% 후반대까지 열어두고 있다는 의미로, 극단적으로 2~4분기 모두 0%로 ‘제로 성장’이 이어지는 시나리오에서도 연간 성장률은 2.3% 정도로 추정된다.

 

윤인대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지난 25일 “연간 성장률을 2% 초·중반대까지 상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국내·외 투자업계의 시선도 다르지 않다. 지난 25∼26일 국내 10개 증권사(한국투자·SK·KB·하나·메리츠·유진투자·상상인·삼성·하이투자·신한투자) 리서치센터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4%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GDP 발표 직전 전망치(평균 2.1%)보다 0.3%p 상향 조정된 수치다.


삼성증권은 기존 전망치보다 3%p 높여 가장 높은 2.7%를 제시했다. ▲2.6% 1곳 ▲2.5% 1곳 ▲2.4% 2곳 ▲2.3% 3곳 ▲2.2% 1곳 등이다. KB증권은 전망치 자체를 2.1%에서 수정하지 않았지만, ‘2%대 중반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겠다'고 언급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전망치 중간값도 2.0%에서 2.5%로 0.5%p 높아졌다. 바클레이즈는 1.9%에서 2.7%로 대폭 높였으며 ▲JP모건은 2.3%에서 2.8%로 ▲골드만삭스는 2.2%에서 2.5%로 ▲BNP는 1.9%에서 2.5%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기재부는 4~5월 산업활동 지표와 수출입 동향을 반영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이 발표되는 6월 말~7월 초쯤 연간 성장전망치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관건은 2분기 역(逆)성장 여부다. 1분기에 ‘깜짝’ 성장한 기저효과로 2분기 큰 폭의 성장률 조정이 불가피하고, ‘전 분기 대비’ 마이너스 가능성까지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 앞서 기재부 관계자도 “2분기에 역성장까지 가리라고는 크게 전망하지는 않는다”면서도 “당연히 조정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1분기 성장을 이끌었던 소비·건설투자 회복세가 지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수출시장은 글로벌 반도체 경기와 맞물려 뚜렷한 회복 흐름을 이어가는 추세이지만, 내수 부문은 1분기 지표만으로 회복 여부를 판단하기 이르다는 점에서다. 


신한투자증권은 “1분기 성장 이면에는 정부의 예산 조기 집행에 따른 내수 반등 효과가 커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분석했고, 하이투자증권도 “1분기와 같은 성장 모멘텀이 지속될지 고민과 판단이 어렵다”고 했다. 


ING도 “원자재 가격 상승, 투자 약화로 2분기부터 성장률이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