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구름조금동두천 27.6℃
  • 구름많음강릉 28.6℃
  • 구름조금서울 28.9℃
  • 구름많음대전 26.3℃
  • 흐림대구 24.7℃
  • 흐림울산 21.9℃
  • 구름많음광주 24.5℃
  • 부산 21.6℃
  • 구름많음고창 24.1℃
  • 제주 22.5℃
  • 맑음강화 23.9℃
  • 구름많음보은 24.8℃
  • 구름많음금산 25.8℃
  • 흐림강진군 19.4℃
  • 흐림경주시 23.8℃
  • 흐림거제 19.3℃
기상청 제공

느리고 건강하게...'저속노화 식단’ 인기몰이

건강한 식사 위한 주방가전 눈길

최근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저속노화 식단’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한 식사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주방가전도 인기몰이중이다.

 

저속노화 식단은 정제 탄수화물이 아닌 혈당지수가 낮은 잡곡밥을 먹고 반찬으로 나물이나 채소,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하는 방식이다. 가공식품을 대신해 체리나 자몽 등 혈당지수가 낮은 과일을 곁들이는 방법도 권장된다.

 

저속노화 식단의 핵심으로 불리는 ‘저속노화 밥’은 귀리, 현미, 백미, 렌틸콩을 2:2:2:4 비율로 지은 밥이다. 이 밖에도 취향에 맞는 잡곡을 넣고 취사하면 일반 흰 쌀밥보다 영양은 높이고 혈당은 낮춘 잡곡밥을 완성할 수 있다. 

 

다만 잡곡은 백미와 달리 도정이 덜 돼 물에 충분히 불려야 해 취사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 쿠첸의 121 밥솥은 복잡한 잡곡 취사 과정을 축소해 건강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최선의 선택지를 제공한다.

 

쿠첸 ‘121 밥솥’은 국내 최초 2.1 초고압으로 잡곡도 백미처럼 부드럽게 취사 가능한 121℃까지 온도를 끌어 올린 제품이다. 초고압과 초고온이 딱딱한 잡곡의 수분 흡수율을 증가시켜 속까지 골고루 익혀준다. 쿠첸 밥맛연구소 연구 결과, 서리태의 경우 기존보다 식감이 33% 정도 개선돼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부드러운 식감의 잡곡밥을 즐길 수 있다. 

 

혼합잡곡밥, 건강콩밥, 슈퍼곡물밥, 현미 100, 보리잡곡밥, 샐러드용잡곡 등 총 6가지의 잡곡 특화 메뉴가 탑재돼 원하는 잡곡밥을 종류에 맞춰 간편히 취사할 수 있다. 

 

불림 기능과 뜸 기능도 따로 갖춰 1~3단계로 취향에 맞게 설정 가능하다. 불림 기능은 단단한 잡곡도 더욱 부드럽고 촉촉하게 취사하며, 뜸 기능을 활용하면 더욱 구수한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 밖에도 풀 스테인리스 ‘파워락’, 초고압을 견디는 일체형 ‘파워 압착 패킹’이 적용됐으며 수분 증발을 낮춰주는 써모가드도 탑재됐다.

 

 

집에서 친환경 채소를 직접 길러 먹을 수 있는 교원 웰스 ‘웰스팜’도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교원 웰스는 식물재배기와 모종 정기 배송 서비스를 결합한 ‘웰스팜’을 운영 중이다. 웰스팜은 가정에서도 사계절 무농약 채소를 키울 수 있는 식물재배기로 배송된 친환경 채소 모종을 디바이스에 꽂아서 키우기만 하면 된다. 디바이스가 전자동 시스템으로 식물 성장에 필요한 빛, 온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활용한 건강 주스 제조기도 눈길을 끈다. 휴롬의 착즙기 신제품 ‘H420’은 휴롬만의 저속착즙기술로 채소·과일을 천천히 눌러 짜 열 발생과 공기 접촉을 최소화한다. 이에 재료의 맛과 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효소, 파이토케미컬 등 채소과일에 함유된 핵심 영양소가 살아있는 건강주스를 만들 수 있다.

 

H420은 지름 165mm의 메가 호퍼를 적용해 채소·과일을 통째로 넣을 수 있고 오토 커팅 기술로 착즙이 시작되면 재료를 자동으로 절삭해 재료를 따로 손질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제품 앞면에는 주스 챔버가 적용돼 착즙 시 주스가 차오르는 모습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세척도 메가 호퍼, 드럼, 멀티 스크루 등 단 3가지 부품만을 분리해 흐르는 물에 씻으면 된다. 

 

업계 관계자는 “저속노화 식단 인기는 단순히 건강을 지향하는 것을 넘어 즐겁게 건강을 챙기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와도 맞닿아 SNS에 식단 인증샷을 올리는 등 젊은 세대에게 새로운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으로도 떠오르고 있어 관련 트렌드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