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5.9℃
  • 맑음강릉 26.4℃
  • 맑음서울 27.0℃
  • 맑음대전 28.0℃
  • 구름조금대구 29.4℃
  • 구름조금울산 22.7℃
  • 구름많음광주 26.5℃
  • 구름많음부산 23.1℃
  • 구름많음고창 25.0℃
  • 흐림제주 23.3℃
  • 맑음강화 22.5℃
  • 맑음보은 25.0℃
  • 구름조금금산 26.7℃
  • 구름많음강진군 23.9℃
  • 맑음경주시 24.6℃
  • 구름많음거제 22.4℃
기상청 제공

박상현 도의원 “경기도, 생성형 AI 도입으로 도약해야”

경기도의회 제375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발언
AI 도입으로 행정 효율화·복지사각지대 해소 가능
도지사에 AI 관련 실증테스트 기관 지정 등 건의

 

경기도의회에서 행정 효율화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정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상현(민주·부천8) 도의원은 11일 열린 도의회 제375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경기도민 80% 이상이 행정 공공기관에 생성형 AI를 도입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의원은 생성형 AI 도입을 통해 도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행정 효율화 ▲복지 신청주의 타파 ▲AI 산업 생태계 구축 등을 제시하며 AI 관련 실증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먼저 도 공무원의 과중한 업무량을 언급하며 “일반직 공무원 1인당 담당해야 하는 도민 수의 전국 시도 평균은 870명 정도인 반면 도는 2800여 명”이라며 “과중한 업무에 도민에게 돌아가는 행정 서비스의 질을 논하기조차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는 행정 서비스를 향상해 도민에 더 나은 행정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며 “현 단계의 생성형 AI는 행정 인력을 대체할 순 없지만 효율적인 근무 여건을 조성할 순 있다. 이는 도민 행정 서비스 향상을 향한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 의원은 개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는 현행 복지시스템의 한계를 설명하며 AI 도입을 통해 ‘복지 신청주의’를 타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까다로운 기준, 복잡한 서류 등으로 인해 도민이 복지를 놓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AI를 활용해 시스템이 신청부터 필요 서류까지 자동 정리해 신청할 수 있게 하면 복지 취약계층에도 복지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경기도의료원에 생성형 AI를 도입해 경기도형 연구중심병원으로 전환 ▲생성형 AI 도입을 위한 실증테스트 기관 지정 등을 건의했다.

 

박 의원은 “도정의 한 부서부터 시작해도 좋다”며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이 효율화되고, 복지의 사각지대가 사라지며, 사업할 맛이 나는 모두가 행복한 도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이근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