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맑음동두천 24.0℃
  • 맑음강릉 22.4℃
  • 구름조금서울 24.5℃
  • 구름많음대전 24.3℃
  • 구름많음대구 27.3℃
  • 흐림울산 26.2℃
  • 흐림광주 23.7℃
  • 부산 23.3℃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6.2℃
  • 맑음강화 22.4℃
  • 흐림보은 23.8℃
  • 흐림금산 24.2℃
  • 흐림강진군 23.9℃
  • 흐림경주시 26.6℃
  • 흐림거제 23.1℃
기상청 제공

민주노총 인천지부 “아리셀 사고…2015년 남동공단 사고 이후 안전조치 바뀐 거 없어”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사망자 23명
그중 18명이 외국인
진상규명,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촉구

 

민주노총 인천지부가 지난 24일에 발생한 화성시 서신면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인천지부는 성명서를 통해 “이주노동자들의 끔찍한 죽음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불법파견과 안전 사각지대의 문제가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일임을 경고하고 있다”며  “의사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는 노동환경에서 일용직 이주노동자들에게 제대로 된 업무교육이나 안전교육이 이뤄졌을 리 없다”고 비판했다.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는 23명이 사망하고 8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내국인 5명, 외국인 18명이다. 외국인 사망자 중 중국인이 17명, 라오스인 1명 등이었다.

 

노조에 따르면 참사 당시 아리셀에 100여 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었다. 등록한 상시 고용인원은 43명뿐이었다. 아리셀은 ‘외국인 고용허가 대상 사업장’도 파견허용 업종도 아니었다. 게다가 인력을 공급했던 메이셀은 무허가 파견업체였다.

 

또 아리셀은 노동부 분류 ‘고위험 사업장’이었지만, 지난 5년간 한 번도 산업안전감독을 받지 않았다. 최근 6년 동안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양이 3배 이상 늘어 150톤을 넘어섰지만, 관계기관의 제대로 된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어 “2015년 남동공단에서 발생했던 ‘메탄올 실명 사고’의 핵심적인 문제는 불법파견으로 고용된 하청노동자에게 아무도 그가 무슨 물질을 사용하는지 알려주거나, 어떠한 안전조치도 하지 않았던 것이었다”며 “10여 년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 그 하청노동자가 이주노동자들로 대체된 것 외 현실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군에 납품하는 리튬형 1차전지는 10여 년 전 수십 건의 폭발사고를 일으켜 문제가 됐다. 최근에도 2021~2023년 동안 31건의 화재 사고를 일으켰다. 화재의 원인인 리튬은 여전히 유해물질에서도 제외된 채 방치됐다.

 

끝으로 노조는 “최악의 폭발화재 사고,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로 희생된 노동자들의 명복을 빈다”며“이번 참사로 희생된 노동자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반드시 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주헌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