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조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비점오염 저감사업이 수자원공사와 전국 7개 환경청 등에서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민주·안양만안) 의원에 따르면 환경부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2022년 수자원공사와 전국 7개 환경청의 비점오염 저감사업 예산은 582억 원에서 내년도 정부예산안 348억으로 59.8%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 축소가 가장 많이 예상되는 기관은 영산강유역환경청으로, 2022년 대비 6.6%정도의 예산이 내년도에 책정될 예정이다.
그 뒤를 이어 전북유형환경청은 22.9% 삭감, 금강유역환경청은 49.1% 삭감, 대구지방환경청은 50.8% 삭감을 기록했다.
녹조발생으로 우려를 낳고 있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022년 80억 원에서 지난해 90억 원으로 예산이 상향됐다가 올해 44억 원으로 반토막 나기도 했다.
수자원공사의 비점오염 저감예산은 지난해에 121억 원으로 최고였다가 올해와 내년도 예산안이 계속 감소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는 74억 원이 책정됐다.
강득구 의원은 이날 전북지방환경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요즘처럼 갑작스럽게 집중호우가 많이 내리게 되면 전혀 예측하지 못한 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이상기온과 합해져서 녹조 발생이 계속 많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부가 식수원 보호를 비롯해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녹조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녹조를 미리 예방하지 않으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