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개발사업을 통해 일자리 30만 개를 마련하고, 고양 순환교통체계 완성과 서울올림픽 유치 협력을 통해 고양을 역동적 도시로 리브랜딩하겠습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13일 신년기자회견을 열고 2030년까지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시장은 기지회견에서 고양 리브랜딩의 1순위 핵심과제로 일자리를 꼽았다.
2030년까지 고양시 내 기업 유치로 유입되는 일자리를 포함해, 총 고용효과 30만 명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는 지난해 124만 8000여 ㎡ 지정에 이어, 이외 지역도 추가 지정을 추진해 2030년 벤처기업을 1000개까지 확대, 약 12000여 개의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의료와 방송영상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2026년 준공하는 일산테크노밸리, 고양방송영상밸리를 통해 약 5만 2000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덕양은 고양영상문화단지를 조성 추진한다. 성사혁신지구 내에는 룩셈부르크 고양보건연구소, 바이럴 벡터 생산 GMP 시설 구축을 협의해 바이오의료 거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특히 일산테크노밸리는 상반기 부지를 분양하고, 일산테크노밸리를 관통하는 제2자유로 지하도로도 2026년까지 완공 추진한다.
일산테크노밸리와 창릉 일원 180만여 ㎡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상반기 신청, 하반기 발표 계획으로, 시에 따르면 총 9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년 반 동안 경제자유구역 내 총 163건의 투자의향을 확인했으며, 이는 금액으로 총 6조 7000억 원에 달한다.
또한 AI 혁신TF팀을 구성, AI를 정책, 행정서비스에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이동환 시장은 “고양시를 할 것 많고 볼 것 많은 ‘꿀잼도시’로 브랜딩해, 관광형 일자리와 상권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외에도 킨텍스 제3전시장의 친환경 전시장으로 건립, 고양시와 킨텍스의 숙원이었던 앵커호텔 준공, 세계 190여 개 지방정부가 참여하는 아태총회 성공적 개최 등 굵직한 사업 추진으로 동력을 불어넣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올림픽 유치 지원 TF를 구성해 2036년 서울올림픽 유치에 적극 협력하는 한편, 고양시 내 개최 종목을 확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인천공항-서울과의 접근성이 좋고, 고양체육관, 고양종합운동장, 어울림누리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스포츠타운을 갖추고 있는 만큼, 일부 종목을 개최하기에 손색이 없다는 평가다.
이 시장은 “IOC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는 유치에 대한 강한 의지, 그리고 통합된 여론”이라며 “서울의 위성도시가 아닌, 생활권을 함께 하는 네트워크 도시로서 협력해 진정한 메가시티 정신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시장은 “고양은 스마트 친환경 도시로서의 잠재력을 갖고 있는 만큼, 향후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이자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본다”며 고양의 미래에 대한 강한 희망과 의지를 내비쳤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