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도 인천 독립운동 상징물 건립은 하세월이다.
22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시와 광복회 인천지부는 독립운동 상징물 건립 장소 결정에 이견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22년 ‘독립운동 상징물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통해 후보지를 도출했지만 결정권은 서로에게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시는 광복회가 처음 상징물 건립을 제안한 만큼 장소 결정에 대한 의견도 먼저 줘야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이 사업은 인천에 독립운동을 상징할 만한 대표적인 기념물이 없다는 광복회의 지적에 따라 추진하게 됐다.
다만 용역에서 도출된 후보지 4곳의 역사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광복회가 제3의 장소를 제안하면 협의를 거쳐 포함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용역을 통해 남동구 중앙공원과 송도센트럴파크·부평공원·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4곳을 후보지로 도출했지만 독립운동과 무관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시 관계자는 “광복회가 설립 장소와 방향에 대한 의견을 주기로 시와 협의한 바 있다”며 “사업은 광복회가 의견을 줘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광복회는 시가 사업 추진 권한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장소 결정에 대한 우선권도 마찬가지라는 입장이다.
자신들은 의견을 제시했을 뿐 상징물 건립에 대한 용역부터 실제 사업 추진까지 시가 예산을 들여 시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광복회는 시에 상징물과 더불어 기념관 건립도 제안했다.
인천에는 3·1운동 발상지인 창영초와 황어장터에 설치된 기념비를 포함해 10개의 독립운동시설이 설치돼 있는데, 지자체 소유는 3개뿐이다.
이마저 시·강화군·계양구로 나눠져 있어 지역을 대표할 만한 상징물을 내세우기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황어장터 기념비와 함께 설립된 기념관과 강화군의 한 교회가 지은 기념관은 규모가 작고 전시품도 다양하게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시는 기념관 설립에 대한 진행 방향 역시 먼저 제안한 광복회가 키를 가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결국 광복 80주년을 맞은 올해마저 시와 광복회의 이견이 계속되며 상징물과 기념관 건립은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광복회 인천지부 관계자는 “광복회가 사유지를 가지고 있으면 거기에 해달라고 하겠지만 시에 부탁하는 입장에서 을일 수밖에 없다”며 “후보지를 도출한 시에서 결정을 내려달라”고 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