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이 2%를 간신히 넘겼다. 특히 경기 침체 상황에서 12·3 계엄 사태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며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의 5분의 1수준인 0.1%로 추락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2.0%로 집계됐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제시한 전망치(2.2%)보다 0.2%포인트(p) 낮은 수준으로 소수점 둘째자리로는 2.04%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 타격에 -0.7%를 기록한 후 2021년 4.6%로 반등했지만 2022년과 2023년 각각 2.7%와 1.4%로 하락세를 이어가다 올해 2%로 반등했다. 건설투자가 역성장을 기록했고 민간소비 성장률 역시 둔화하는 등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IT 수요 확대 등으로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폭이 확대되면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23년 1.8%에서 지난해 1.1%로 줄었다. 건설투자는 1.5%에서 -2.7%로 감소 전환했다. 수출은 2023년 3.9%에서 지난해 6.9%로 큰 폭 상승했다. 정부 소비는 1.3%에서 1.7%로, 설비투자는 1.1%에서 1.8%로 각각 늘었다.
경제활동별로는 서비스업 증가폭이 2.1%에서 1.6%로 축소했고 건설업은 3.1%에서 -2.6%로 감소 전환했다. 제조업은 증가폭을 키웠다. 2023년 1.7%에서 지난해 4.4%까지 늘었다.
지난해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1.6%p로 전년(1.1%p)을 웃돌았다. 정부의 성장 기여도 역시 0.4%포인트로 직전 해 0.3%p보다 상승했다.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1.8%p로 내수(0.2%p) 대비 높았다. 내수는 민간소비,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2023년 1.4%p에서 지난해 0.2%p로 축소됐다. 건설투자 기여도는 -0.4%p로 하락 전환했다. 설비투자는 기여도가 2023년 0.1%p에서 지난해 0.2%p로 소폭 늘었다.
문제는 분기별 성장률이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1분기 1.3%로 깜짝 성장을 거둔 분기 GDP 성장률은 2분기 -0.2%로 하락 전환 후 3분기와 4분기 모두 0.1%의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은 당초 전망(0.5%)에 한참 못 미치는 0.1%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 IT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으나 내수에 발목이 잡혔다. 정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심리 악화 등으로 민간 소비 회복세가 약화한 가운데 건설 투자 부진이 지속됐다.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가 전 분기 -0.8%p에서 0.1%p 플러스로 전환했으나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전분기 0.8%p에서 0.0%p로 크게 축소됐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4분기 GDP가 전망치를 밑돈 건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부진 영향이 컸다”며 “건설투자는 예상보다도 더 부진이 심화했고, 민간소비는 예상치 못한 정치적 불확실성에 심리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전망을 수정 중이지만 지난해 예상했던 1분기 성장도 전기 대비 0.5% 성장보다 부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최근 정치 불안이 올해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은 최근 블로그를 통해 경제 심리 위축에 내수 성장세가 약화됐다고 지적하며 올해 성장률을 1.6~1.7%로 제시했다. 다만, 정치 불확실성이 2분기부터 점차 해소돼 경제 심리가 하반기 중 이전 수준을 회복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신 국장은 "정치 불확실에 따른 심리 위축과 건설 부진에 올해 1분기 성장률도 전망치 0.5%보다 낮게 나올 수 있다"며 "미국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정책이 영향을 미치고, 재정 신속 집행과 추경 가시화 등이 민간 소비 위축과 건설투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