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영상 행복주택 조감도. (사진 = LH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8295544061_0dedf3.jpg)
‘문화불모지 인천’, 꼬리표 떼기엔 아직 멀었다.
전국 곳곳에서 청년예술인의 안정적 주거 지원을 위해 팔을 걷고 있다. 예전부터 인천도 정책 제안은 나왔지만 실현까진 어려워 보인다.
6일 인천문화재단에 따르면 ‘제3차 인천 예술인 플랜(2025~2027년)’에서 예술인 생활안정 지원 사업이 제안됐다.
주거 불안정과 소득 불안정 상황에 놓인 예술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유였다. 2027년까지 시중 시세 30~50% 수준인 예술인 매입임대주택 25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 제안은 처음이 아니다.
앞서 ‘인천 예술인 복지플랜(2018년)’과 ‘제2차 인천 예술인 플랜(2022~2024년)’에서도 각각 시급, 중기 단계인 과제라는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정책 반영은 안 됐다.
그 사이 인천에서 나고 자란 청년예술인은 다른 지역으로 떠나고 있다.
계양구에 사는 A씨(29)는 부천영상문화단지에 있는 청년예술인주택 2차 추가모집에 당첨됐다. 조만간 인천을 떠나 부천에 정착할 예정이다. 부천영상행복주택 길 건너편은 인천 부평구다.
그는 “다른 일반 행복주택보다 경쟁률이 낮다는 게 지원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였다”며 “예술인 특성상 프리랜서 형식으로 혼자 일하는 경우가 많아 정보 공유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도 장점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에서도 다양한 예술인 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것을 알지만 작업공간, 거주공간에 대한 지원 사업을 찾기는 조금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인천 문화예술분야 예산이 턱없이 적은 만큼 신규 사업에 손을 뻗긴 쉽지 않다.
유정복 시장은 ‘문화예술분야 예산 3%로 증액’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여전히 1%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인천도시공사(iH)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시의 의지에 달려있다.
문화재단 관계자는 “예술인 종합 지원 정책으로 예술인 플랜을 3개년마다 수립하고 있다”며 “예술인 주거지원 사업의 경우 예산 확보와 관련 기관 협의 등 장기적으로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