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해양대학교가 생길 수 있을까.
항만도시인 인천에는 해양산업 전문 인력을 키우는 해양대학이 없다. 인천해양과학고·인천해사고 졸업생들은 다른 지역으로 진학하는 상황이다.
해양대 설립은 해묵은 현안이다. 수도권정비계획법과 다른 지역 반발 등에 매번 가로막혔다. 지난해 인천대와 목포해양대 통합 방안도 논의됐다가 접혔다.
지역 내 대학에 해양 관련 단과대를 설립하는 쪽도 검토했으나, 정작 대학들은 큰 관심이 없다. 수정법으로 학생 수가 정해져 있어 만약 단과대가 새로 생기면 조정이 불가피해서다.
인천시는 계속 돌파구를 찾고 있다.
최근 검토를 거쳐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을 통해 공여 구역에 대학 설립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했다.
이마저도 실현되긴 어렵다.
이미 공여구역에 따른 사업계획을 거의 확정했기 때문이다. 만약 대학 유치 등 다른 방향으로 결정되면 국비 약 3700억 원을 받지 못하는 문제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게다가 해양대 유치에 팔을 걷은 건 인천만이 아니다.
올해 1월 이병진 국회의원(민주·경기 평택을)은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해양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국립평택해양대’를 설립하는 게 골자다.
시도 계속 유치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해 5월에는 인천시의회에서 ‘국립인천해양대 설립 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대통령실과 국회 등에 보낸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9월 한국해양대학교, 인천시의원, 시 관계 부서 등이 참여한 회의를 진행했다”며 “당시 수정법 등에 대해 국토부와 교육부에 대해 공동 대응하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지역 국회의원들과 소통하면서 해양대 유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