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와의 회동이 오는 28일로 확정된 가운데 야권 내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인물들과의 만남을 서두르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지난 13일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시작으로 오는 21일 박용진 전 의원, 24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 27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28일 김 지사 등 ‘2월 회동’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받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결과가 3월 중 나올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조기 대선을 염두한 당내 교통정리에 나서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경기신문의 취재 결과, 김 지사는 오는 28일 오후 4시 이 대표와 만나 두 사람이 20대 대선 당시 합당 과정에서 공동 합의문에 명시했던 ‘공동 내각 정부’와 ‘국민소환제’ 등 개헌 관련 의제를 논의할 전망이다.
당초 이 대표 측에선 김 전 지사와 김 전 총리·안 전 실장과의 회동 사실을 알리며 ‘김동연 지사와의 회동은 논의된 바 없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혀왔는데, 돌연 김 지사와 다소 촉박한 일정의 회동을 확정지은 것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현재 이 대표와 만났거나 만남을 앞두고 있는 야권 내 차기 대선주자들은 친문계(친문재인계)면서 비명계(비이재명계)의 성향이 뚜렷한 인물들이다.
이 대표는 오는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결심공판에서 검찰 구형 등을 받게 되는데, 통상 결심공판 이후 선고까지 한 달쯤 소요되는 것을 감안해 2월 중에 당내 계파 통합 행보를 마무리 짓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계파색이 옅은 한 민주당 의원은 경기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100만 원 미만 벌금형이 나오면 소위 현재 비명계 차기 대권주자들의 행보는 별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조기 대선이 사실상 코앞이지 않나. (이 대표가) 의원직 상실만 아니라면 민주당 대선후보는 단일대오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만약 (이 대표 형량이) 1심과 같거나 더 높으면 당 지지율에 영향이 갈 수밖에 없고, 결국엔 (거론되는 비명계 인물 중) 가장 목소리 높은 사람을 밀어주는 걸로 가지 않겠나”라고 부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