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동두천 -9.7℃
  • 맑음강릉 -3.8℃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6.2℃
  • 구름많음대구 -3.1℃
  • 흐림울산 -3.0℃
  • 구름조금광주 -3.1℃
  • 구름많음부산 -1.9℃
  • 구름많음고창 -4.7℃
  • 흐림제주 2.7℃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8.5℃
  • 구름조금금산 -6.7℃
  • 흐림강진군 -1.4℃
  • 흐림경주시 -3.1℃
  • 구름많음거제 -1.7℃
기상청 제공

첫 관문부터 막힌 ‘경인선 지하화’…종합계획 포함될까

정부의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에서 빠져
맹성규 의원, 전구간 고집한 인천시 질타

 

‘경인선 지하화 사업’이 첫 관문부터 넘지 못했다.

 

19일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철도 지하화’ 카드를 꺼냈다.

 

선도사업 대상지로 부산(부산진역~부산역), 대전(대전조차장), 경기 안산(초지역~중앙역) 등 3곳을 선정했다. 4조 3000만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여기에 인천시와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은 경인선 지하화는 빠졌다.

 

1899년 개통된 경인선은 가장 오래된 철도로,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당시 지하화를 제시했던 노선이다.

 

일단 정부는 경인선·경부선·경원선 등 구간을 관련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선도사업 지정은 사업 구간 길이가 관건이었다. 선정된 노선을 보면 대전 2.4㎞, 부산 2.8㎞, 안산 5㎞ 등 구간이 짧은 게 특징이다.

 

지난해 10월 인천시는 국토부에 ‘경인선 지하화 선도사업 제안서’를 제출했다.

 

제안서에는 경인선(온수역~인천역, 22.63㎞) 구간의 지하화 방안이 담겼는데, 이중 인천시 구간은 인천역에서 부개역까지 14㎞다. 상부 개발 수입은 8조 3000억 원, 지하화 등 사업비는 6조 6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경인선 지하화 구간은 대전·부산과 비교하면 11배나 길다. 이에 따른 막대한 사업비가 부담으로 적용된 셈이다.

 

하지만 지역 주민 숙원 사업으로 꼽히는 만큼 물러서기도 쉽지 않다.

 

인천지역 정치권에서는 이번 선정 관련 국토부와 인천시를 향한 쓴소리가 나왔다.

 

맹성규(민주·남동구갑) 의원은 “사업지역으로 가장 설득력 있고, 포함돼야 할 경인선은 제외됐다. 국토부는 사업 추진 지역을 선정할 때 사업의 상징성, 타당성과 함께, 도시의 통합적 재생도 고려해야 했다”며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인천시가 전구간을 고집했다. 다른 지자체는 정부에 부족한 사업비를 분담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인천시는 그렇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토부는 12월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종합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경인선이 철도지하화 사업에 포함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