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일)

  • 맑음동두천 -0.2℃
  • 맑음강릉 2.1℃
  • 맑음서울 0.0℃
  • 구름많음대전 -0.9℃
  • 구름많음대구 1.1℃
  • 맑음울산 2.0℃
  • 구름많음광주 0.6℃
  • 맑음부산 3.4℃
  • 구름많음고창 -0.7℃
  • 구름많음제주 2.9℃
  • 맑음강화 -1.3℃
  • 구름많음보은 -1.3℃
  • 구름많음금산 -1.2℃
  • 흐림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2.1℃
  • 구름조금거제 1.9℃
기상청 제공

혼합금리 사라진다…은행권, 순수 고정금리 확대 가속화

은행권, 혼합금리 상품 잇따라 폐지
금융당국 ‘고정금리 확대’ 정책 영향

 

은행권 대출금리 중 하나인 ‘혼합금리’가 점차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혼합금리는 일정 기간(보통 5년) 동안 고정금리를 적용한 뒤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금리 변동성을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선택지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순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도록 유도하면서, 은행들은 혼합금리 상품을 속속 폐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대출금리 선택 폭이 좁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21일부터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혼합금리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혼합금리 선택 비중이 낮아 상품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 판매를 중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은행권 대출금리는 ▲고정금리 ▲변동금리 ▲혼합금리로 나뉜다. 고정금리는 대출 실행 시 결정된 금리가 통상 5년간 유지되며, 변동금리는 6개월마다 금리가 조정된다. 혼합금리는 처음 5년간 고정금리를 적용한 후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방식이다.

 

소비자들은 시장금리 상승기에는 금리가 고정되는 고정금리를, 하락기에는 이자가 내려가는 변동금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혼합금리는 고정과 변동 사이에서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중간 선택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정책 변화로 인해 이러한 선택지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의 금융 선택권이 제한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고정금리 확대가 금융시장 안정성 확보라는 명분 아래 진행되고 있지만, 개별 소비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대출 성향과 상황에 맞는 다양한 선택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혼합금리가 사라지는 배경에는 금융당국의 정책 변화가 있다. 금융당국은 변동금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내 대출 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순수 고정금리 판매 비중을 확대하도록 행정지도를 강화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서 순수 고정금리 비중은 23.1%에 불과했다. 반면 프랑스(97.4%), 독일(90.3%), 미국(85.0%)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10년 이상 장기 고정금리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NH농협은행은 지난해 9월 혼합금리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는 지난해 5월, 카카오뱅크는 9월부터 혼합금리 상품을 판매하지 않고 있다. 신한은행은 이미 2016년부터 혼합금리 상품을 중단한 상태다.

 

은행들은 고정금리를 더 매력적인 옵션으로 만들기 위해 금리 차이를 활용하고 있다. 지난 21일 기준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3.47~5.97% 수준으로, 변동금리(4.22~6.27%)보다 낮게 설정됐다. 변동금리가 하단 기준으로 0.75%포인트(p) 높은 상황이다.

 

이 같은 흐름에 따라 국내 고정금리 대출 비중도 상승하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주담대(잔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65.7%로, 2023년 말(59.2%) 대비 6.5%p 증가했다. 반면 변동금리 비중은 같은 기간 40.8%에서 34.3%로 감소했다.

 

5대 은행 중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여전히 혼합금리 상품을 유지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선택 비중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5년 주기형 고정금리가 가장 저렴한 수준이며, 향후 시장금리가 하락할 경우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을 활용해 유리한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다”며 “올해부터 중도상환수수료율도 절반 수준으로 낮아져, 소비자들에게 고정금리를 선택한 후 금리가 낮아지면 갈아타기를 추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