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지역 원도심의 만성적인 주차난 해소를 위해 시가 칼을 빼들었다.
23일 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원도심에 20만 면의 주차공간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 2023년 기준 인천지역의 전체적인 주차장 확보율은 106%에 달한다.
하지만 원도심은 아파트를 제외하고 지역 평균의 절반 이하인 43%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주차 민원뿐 아니라 정주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는 원도심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달 원도심 집중 주차장 20만 면 확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2030년까지 장기 전략으로 신규주차장 6만 면을 조성하고, 단기 전략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 종교시설·대형마트·학교·공공기관의 부설주차장 14만 면을 확보할 방침이다.
올해는 주차면 확보율을 48%까지 끌어올리고, 매년 6%씩 2030년까지 80% 수준으로 상승시킬 계획이다.
시는 올해 신규 주차면 4950면을 착공·준공하고, 부설 주차면 2만 750면도 확보한다.
공영주차장 사업에는 이미 148억 원을 교부했으며, 전통시장 및 산업단지 주차장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종교시설 8000면, 대형마트 및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약 1만 3000면을 공유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어린이 보호구역의 야간시간대를 활용한 주차와 공영주차장 내 문콕 방지 개선사업 등도 진행한다.
김인수 시 교통국장은 “주차공유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종교단체와 대형마트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며 “시민들이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실질적인 추자 개선 효과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