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일)

  • 맑음동두천 -3.7℃
  • 맑음강릉 0.0℃
  • 맑음서울 -2.6℃
  • 맑음대전 -2.6℃
  • 구름조금대구 -0.2℃
  • 맑음울산 -0.1℃
  • 광주 -0.9℃
  • 맑음부산 0.6℃
  • 구름많음고창 -1.6℃
  • 구름많음제주 2.0℃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3.2℃
  • 구름많음금산 -2.8℃
  • 구름많음강진군 0.2℃
  • 맑음경주시 -0.1℃
  • 맑음거제 0.2℃
기상청 제공

'애 보는 아빠들' 4만 명 넘어…지난해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율 30% 돌파

13만 2000명 중 약 4만 명…9년새 9배 증가
"누구나 걱정 없이 출산, 육아하도록 지원"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대를 돌파했다. 

 

23일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가 25만 6771명으로 전년도 23만 9529명보다 1만 7242명(7.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중 육아휴직자는 13만 2535명으로 2023년 12만 6008명 대비 6527명(5.2%) 늘었다.

 

출생아 수 감소 추세로 2023년 다소 줄었던 육아휴직 사용자는 일·가정 양립 제도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 1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2023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5336명으로 전체의 28%였다.

 

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4872명(5.6%)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9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1월 1일 이후 30일 영업일 기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9.2% 늘어났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 수 증가율 42.6%를 웃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는 7만 5311명(56.8%)으로 2023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100인 미만 소속 근로자도 6만 128명(45.4%)으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늘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이다.

 

김문수 노동부 장관은 "일하는 부모 누구나 걱정 없이 출산과 육아를 하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게 올해 확대된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