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25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올해 두 번째 ‘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에는 서울·경기·인천·강원 지역 소상공인연합회 광역지회 회장과 기초 지부장, 각 지자체 관계자, 한국외식업중앙회·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중기부는 이날 행사에서 ‘2025년 소상공인 분야 주요정책’을 설명하며 플랫폼 수수료 인하, 배달·택배비 지원, 정책자금 및 스마트상점 확대 등 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온누리상품권 환급 지원, 미리온 동행축제 등 내수 활성화 대책과 더불어 희망리턴패키지·로컬크리에이터 육성 등 소상공인 재기·도약 프로그램도 소개됐다.
이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도기반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상공인 365(소상공인 빅데이터 경영지원 플랫폼)’ 시연에 나섰고,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주재로 지역 소상공인 업계 현안과 건의사항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정책자금 요건 완화, 소상공인 365 홍보 확대, 소비촉진 운동 활성화 등에 대한 건의를 쏟아냈으며, 중기부는 이를 종합 검토해 정책 추진 과정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올해도 소상공인 정책의 출발점이 현장의 목소리임에는 변함이 없다”며 “소공인, 기업가형 소상공인 등 거시적인 주제 중심으로 진행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는 지역의 소상공인들을 순차적으로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좀 더 깊게 청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협의회를 마친 뒤 오 장관은 수원 행궁동 ‘글로컬 상권’ 창출 현장을 방문했다. 행리단길·공방거리·통닭거리·전통시장 등으로 구성된 행궁동 상권은 로컬크리에이터와 상인들이 협력해 글로벌 관광객도 즐길 수 있는 독창적인 골목상권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곳에서 오 장관은 지난 1년간 진행된 변화 사례와 애로사항을 들은 뒤, 수원시청 관계자·전문가 등과 함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로컬콘텐츠 시티 행궁동’ 프로젝트를 이끌어 온 팀은 체류 공간·문화 공간·집객 공간으로 동네 곳곳을 새롭게 정비하고, 로컬브랜드 발굴·장인학교·로컬페스타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펼쳐 지역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오 장관은 “로컬 크리에이터들은 지역과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하면서 소상공인들을 경쟁력있는 브랜드로, 지역상권은 매력적인 골목상권으로 만들어 내고 있다”면서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를 통해 소상공인과 골목상권은 그동안 그 누구도 창출하지 못했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의 기업, 장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