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으로 설치된 미국 통상 관련 ‘관세 대응 119’ 상담 창구에 기업들의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불안을 느끼는 기업들이 한층 많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는 ‘관세 대응 119’ 상담 창구를 개소한 지난달 18일 이후 이달 7일까지 미국 통상 정책과 관련한 기업 문의가 총 553건에 달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관세 대응 119' 개설 전인 지난해 같은 기간 미주 지역 관련 비즈니스 애로 상담 실적(205건)과 비교해 170% 급증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보면 관세 관련 문의가 253건(46%)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 파트너 발굴 89건(16%) ▲해외 생산 거점 이전 53건(10%) 순으로 문의 비중이 높았다.
코트라는 “관세 문의 급증은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관세 조치가 연이어 발표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자사 수출 관련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코트라는 이러한 기업 수요에 대응해 세밀한 상담뿐 아니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미국, 멕시코, 캐나다 등 20개 무역관에 헬프 데스크를 운영하고, 기업들이 자사 제품이 새로 변동된 관세 대상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관세 시뮬레이터 프로그램도 이달 중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선보일 계획이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미국 관세 정책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정보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해외 무역관의 네트워크와 정보력을 최대한 활용해 수출 애로를 겪는 우리 기업에게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체 시장 발굴 관련 사업을 확대하는 등 전사적 지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