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연임에 성공하면서 임기를 3년 더 이어가게 됐다.
하나금융지주는 25일 서울 명동 사옥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함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 함 회장의 임기는 2028년 3월까지다.
하나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함 회장을 두고 "국내외 정세 불안,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경험과 역량이 검증된 후보"라고 평가했다.
금융권에서는 일찌감치부터 함 회장의 연임을 점치는 시각이 우세했다. 그는 2022년과 2023년 하나은행을 리딩뱅크에 올려놓고, 지난해 3조 7888억 원의 역대 최대 실적을 이끌어내는 등 탁월한 경영 성과를 기반으로 과반 이상의 주주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함 회장 2기 체제를 맞은 하나금융은 가장 먼저 밸류업(Value-up·기업가치 제고)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함 회장은 지난달 27일 하나금융그룹 홈페이지 등에 공개한 사내 아나운서와의 인터뷰에서 그룹 CEO로서 지난 3년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한 사안으로 기업가치 제고, 즉 '밸류업'이라고 답했다.
당시 그는 "하나금융은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 50% 달성을 위한 주주환원의 지속적인 확대를 이어갈 것"이라며 "밸류업의 핵심은 한정된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만드는 것"이라며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한 해 동안 하나금융 주가는 30% 상승했고, 2021년 26% 수준이었던 주주환원율은 지난해 38%까지 올랐다.
비은행 기여도를 끌어올리는 것도 함 회장이 풀어야 하는 숙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하나금융의 비은행 부문 기여도는 지난해 3분기 기준 17% 수준으로 KB금융 44%, 신한금융 29%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하나자산운용과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등 합병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보험사업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함 회장도 올해 신년사를 통해 "사업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비은행부문의 동반 진출을 통해 수익 기반을 다양화해야 한다"며 "그룹 전체의 계열사간 시너지를 확대함으로써 비은행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과를 창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