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위기 아동의 조기 발견과 재학대 방지를 위해 ‘2025년 아동학대예방 연간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은 시민 인식 제고, 위기 아동 사전 발굴 체계 강화, 공공 중심 아동학대 인프라 구축, 가족 기능 회복 및 재학대 예방 등 4개 중점 전략과제와 17개 주요사업으로 수립됐다.
이를 위해 시는 9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방위적 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아동학대 예방·대응 시스템 및 재학대 예방 강화를 중점 목표로 설정했다. 예방부터 회복까지 전 분야에 걸쳐 촘촘하고 내실 있는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동학대 예방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임산부·대학생·고등학생 등 예비 부모들의 긍정 양육 코칭 교육을 새롭게 시작한다.
재학대 방지를 위해 사례관리 가정 대상 부모교육도 신설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 교육을 추가로 시행하는 등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아동을 조기 발굴하고, 복지 욕구 점검 및 서비스 연계를 통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 뒤 조기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3세 아동 전수조사와 고위험 아동에 대한 유관기관 합동점검을 통해 사후 재학대 예방에도 집중할 예정이다.
위험 징후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생필품비, 양육 코칭, 부모교육 등을 사전에 지원하는 ‘아동학대 예방 조기지원 시범사업’도 새롭게 시행한다.
시·군·구 및 유관기관이 함께하는 아동학대 대응 실무협의체도 구성해 긴밀한 협업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밖에 광역-지역 전담의료기관 간 협력도 강화해 피해 아동에 대한 보호 및 지원에 적극 나선다.
지난해 11월 행정체제 개편에 발맞춰 신설한 검암아동보호전문기관 5곳을 1곳 더 늘려 올해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방문형 가정회복사업 대상도 기존 120가정에서 150가정으로, 위기가정 지원사업 대상도 180가정에서 240가정으로 확대한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아동안전에 대한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발굴·대응·회복 전 분야에 걸쳐 지원체계를 대폭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