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의 하수도 민원은 노후관로 교체, 하수관 역류, 악취 등 하수관로 관련이 가장 많다.
환경부 하수도통계에 따르면 인천 전체 하수도 민원 중 하수관로 관련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21년 36%, 2022년 29%, 2023년 31%였다.
땅속을 들여다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낡고 좁은 인천 하수관로 탓에 악취, 도로 침수가 매년 되풀이 되고 있다.
지난 2023년 기준 인천의 하수관은 5751㎞로, 그중 2675㎞(46.5%)가 1996년 이전에 매설된 30년이 넘은 노후관이다.
관경이 500㎜ 미만이 전체의 42%나 차지할 정도다.
오래되고 좁은 하수관에 퇴적물은 매년 쌓여만 가고 있다. 때문에 평상시 악취가 발생하고, 집중호우 때는 역류해 도로 침수로 이어진다.
근본적으로는 퇴적물을 준설해야 하지만 계획 대비 56%만 실행했을 뿐이다. 전국 120%, 서울 89%와 비교하면 한참 낮은 수치다.
인천시는 행정안전부 발표 ‘2024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하수도 준설 등 주요 사업성과가 낮다는 이유로 하위권인 ‘라 등급’을 받기도 했다.
서울시 등 다른 시·도는 하수관로를 30년 빈도로 설계해 교체하고 있지만 인천은 여력이 없다.
인천시는 매년 적자가 나는 하수도특별회계 탓에 지난 2021년부터 3년 간 하수도 요금을 인상했다.
지난 2023년 하수도 요금은 ㎥당 682.5원으로 전국 664.4원과 비교해 18.1원 비싸다. 지난 2021년에는 595.3원, 2022년에는 655.5원, 2023년에는 682.5원으로 올렸다.
2023년 하수도특별회계 부채는 670억 1041만 원, 당기순손실은 415억 4263만 원에 달했다.
하수도 요금을 아무리 올려도 하수도특별회계 적자를 메우기는 버거운 셈이다.
앞으로도 시는 노후관 교체와 보수 공사에 꾸준히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특히 승기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과 가좌하수처리시설 내 전처리시설 설치사업, 남항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개량사업 등 대규모 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실제 인천이 다른 지역에 비해 하수관로 민원 비율이 높은 편이다”며 “하수도 역류나 빗물받이 막힘 등의 민원이 있어 작년부터 예산을 편성해 장비구입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달에는 군·구 하수도 시설 현장점검을 진행할 예정이고 노후관에 대해서는 시급한 순서로 긴급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강혜린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