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정 정책, 관세 대응 정책, 기후위기 대응 정책 등 경기도 정책이 가장 앞서기 때문에 새 정부에서 좋은 벤치마킹 사례가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경기도정에 복귀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첫 메시지로 ‘도정의 국정 반영’ 각오를 다졌다.
김 지사는 29일 경기도청에서 도정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도가 이제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가장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김 지사는 경기도 기후보험 정책으로 유엔 기후행동 ‘로컬 리더즈’ 11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
김 지사는 “중앙정부에서 그동안 역주행한 기후위기 대응에 도는 정주행한 만큼 새 정부에서도 기후정책만큼은 벤치마킹하자 마음 먹게끔 하자”고 당부했다.
이어 “추경도 마찬가지다. 새 정부가 재정의 적극 역할을 느낄 수 있도록 하자”며 “도가 수출 안전판을 위해 선도적으로 미국까지 가서 협상했 듯 (관세 대응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대선 공약으로 내놨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등 현안 추진을 위해 새 정부를 적극 설득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지사는 “우리당 경선은 비전과 정책으로 건전하게 경쟁했다. 그중에서도 제 캠프가 가장 깊이 있고 가장 민주당 가치에 맞는 정책을 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후보 간에 자세히 얘기할 시간이 없었고 이견 있던 부분도 있었지만 제가 냈던 정책 중 좋은 것은 따라가자고 했다”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내용이 자세히 나오지는 않았지만 새 정부에서 추진될 수 있도록 설득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도정 현안 추진 계획에 대해선 “간부들에게 민생추경, 지하안전 포함 안전 문제 예방, 트럼프 관세로 인한 피해 수출 중소기업 지원 세 가지를 우선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어 “추경은 막바지에 있는데 행정1부지사, 기조실장에게 도의희와 사전 협의하도록 지시했다”며 “어제 김진경 의장, 김정호 대표와 통화했고 빠른 시간 내 의장을 만나 추경 포함 여러 가지를 협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캠프 합류로 인한 공석 인사 관련 질문에는 “비운 자리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채울 것”이라고 답했다.
이재명 후보 공동선대위 합류 의사에 대해선 “경선이 끝나면 한 팀으로 정권교체, 제7공화국을 공통목표로 가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지사인 제가 참여하는 것은 법적으로 안 되지만 선거캠프에 참여했던 분들은 요청이 오면 적극 참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