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지난 14일 제7차 수소산업위원회를 열고 기본계획 수립 방향을 논의했다.
수소산업위는 ‘인천시 수소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구성된 자문기구다.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을 중심으로 수소산업 관련 산·학·연 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돼 있다.
수소 및 수소화합물 에너지 보급 확대와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시 정책 방향에 대해 자문하고, 실행을 지원하는 핵심기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시 수소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수소경제가 에너지 전환을 견인할 차세대 동력이자 향후 국가 경제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함께했다.
특히 인천이 보유한 수소 생산 인프라, 대중교통 부문에서의 수소 활용 경험, 지리적 장점을 적극 활용해 지역 특성에 맞는 수소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조됐다.
시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 비전과 목표를 담은 수소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해 내년 3월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전반에 걸친 생태계 구축은 물론 민간투자 유치와 인재 양성 방안까지 포괄하는 종합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미 수소충전소 14곳을 운영하고 있는 등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많은 수소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또 정부 공모사업 참여와 민간 수소 관련 사업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을 통해 수소경제 기반 조성을 선도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앞으로도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인천형 수소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기술 혁신과 인프라 확충 등 전방위적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시는 미래 수소경제의 중심도시로서 대한민국은 물론 글로벌 수소산업의 흐름을 이끄는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