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집중호우 피해가 발생한 가평군을 찾아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도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인명피해가 발생한 조종면 마일리 일대를 찾아 실종자 수색구조 현장을 점검하고 “실종자 수색과 구조를 최우선 과제로 지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수색구조 현장 점검을 마친 김 지사는 조종면 신상1리 마을회관에 위치한 임시 대피소에서 이재민들을 만나 위로를 전하고 구체적 피해 상황을 경청한 뒤, 특별 지원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행정안전부에 가평군과 포천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신속히 선포해달라고 요청했다”며 “피해 규모가 크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인 만큼 선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는 특별재난지역 지정 여부와 관계없이 긴급 지원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 지사는 “만약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되지 못하는 지역이 있다면 도가 자체적으로 ‘특별지원구역’으로 지정해 도 특조금(특별조정교부금)을 사용해서라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가구당 최소 600만 원, 농·어가는 최대 1000만 원, 희생자 유족에게는 3000만 원의 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재난을 계기로 산간·농어촌 지역 등에 재난 방송이 가능한 음향설비 설치를 적극 검토하고 소하천과 지류 정비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지사는 반복되는 폭우 피해의 근본적인 원인이 ‘기후위기’로 인한 기상 이변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일시적인 대응을 넘어 재난 예방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도는 중앙정부와 협력해 선제적 예방과 함께 근본적인 기후위기 대응 체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지사는 수해 직후인 지난 20일 가평군 상면 대보교를 찾아 ‘통합지원본부’ 설치를 지시하고 가평군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청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김우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