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특례시가 드디어 ‘4개 일반구 설치’라는 대규모 행정체계 전환에 성공했다.
민선 8기 정명근 시장이 취임 직후부터 시정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일반구 설치’가 현실화되면서, 전국 기초지자체 중 가장 역동적인 화성특례가 행정서비스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시는 지난 20여 년간 급격한 도시 성장과 함께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기존 ‘읍·면·동’ 체계만으로는 광활한 행정구역과 복잡해진 민원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다.
이에 정명근 시장은“시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신속하고 전문화된 행정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일반구 설치를 시정 제1과제로 제시했다.
정 시장은 취임 직후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행정안전부와 긴밀히 협의해 법적·제도적 절차를 밟았다.
또한 시민 공청회와 설명회를 통해 공감대를 넓히며 행정 수요와 기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지난 8월 행정안전부 승인과 행정 절차를 최종 마무리하면서 화성특례시는 ‘동부·서부·남부·북부’ 4개 구청 체제로 내년 2월 새롭게 출범한다.
4개 구청 분리는 행정수요를 균형 있게 나누고, 지역별 특화발전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동부는 첨단산업, 서부는 해양·농업, 남부는 교통·신도시, 북부는 역사·문화 중심의 맞춤형 정책 수립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 수립이 가능하다.
또한 인구 과밀지역 분산 관리, 각 구청장 중심의 책임행정 실현 등 행정 효율성이 강화로 먼 시청까지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구청에서 대부분의 민원을 해결 가능하다.
정명근 시장은 “일반구 설치는 단순한 행정조직 개편이 아니라 시민이 체감하는 생활 행정의 시작”이라며 “앞으로도 구청별 특성을 살려 ‘살기 좋은 화성, 함께 행복한 화성’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