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누가 써줬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배웠는가

 

보고서의 주인은 의원 자신이어야 한다.

 

화성특례시의회의 해외출장 보고서가 직원들에 의해 대신 작성됐다는 ‘대필 논란’ 제기됐다.

 

'누가 써줬는가', '어디까지가 본인의 생각인가'를 따지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그러나 진정 우리가 물어야 할 질문은 다른 곳에 있다.

 

바로 “누가 써줬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배웠는가”이다.

 

‘의정활동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요구되는 시대에 보고서 한 장이 다시금 지방의회의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해외연수는 의원들의 정책역량을 높이기 위한 제도다. 시민의 세금으로 이뤄지는 만큼, 출장 전 계획부터 사후 보고까지 철저한 자기검증이 필수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이 출장 후 보고서 작성조차 직원에게 맡겼다면, 이는 단순한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의정활동의 본질적 신뢰를 흔드는 행위다.


직원들이 대신 쓴 보고서는 결국 ‘형식적 연수’의 증거가 된다.  

 

해외 현장을 보고 느낀 점, 지역 정책에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한 고민이 빠진 ‘빈껍데기 보고서’가 시민에게 어떤 설득력을 가질 수 있을까 라고 묻고 싶다.

 

이처럼 지방의회가 스스로 만든  규칙조차 어긴다면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동행하는 공무원들은 ‘의원님 눈치’를 봐야 하고, 시민들은 ‘보고서조차 남의 손’이라는 사실에 실망한다.

 

출장의 결과가 진정한 정책 제안으로 이어지려면 중요한 건 ‘누가 써줬는가’가 아니라 ‘ 그 보고서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시정에 반영 했는가’에 답해야 한다.

 

의회는 이번 일을 계기로 해외출장 제도의 전반을 되돌아보는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출장의 목적이 ‘기록’이 아닌 ‘학습’으로, 결과가 ‘보고서’가 아닌 ‘정책’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시민이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더 성숙한 정치문화로 가는 출발점이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