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송도국제도시 심각한 전력난에 투자 개발 사업 잇따라 좌절

학계 “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이 관건”

 

바이오·첨단산업의 핵심 거점인 인천 송도국제도시가 부족한 전력 인프라에 기업들 투자가 잇따라 좌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공급을 개선할 인프라 확충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국회의원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송도국제도시에 전력공급을 신청한 25건 중 14건(56%)이 불허 판정을 받았다.

 

특히 바이오, 반도체 등 전력 집약형 산업에 필수적인 대용량(30㎿ 이상)의 전력 신청 불허율은 15건 중 12건이 거부되는 등 80%를 웃돌았다.

 

전력공급 상황은 지난 2023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악화됐다.

 

지난 2022년 86%(7건 신청→6건 승인)에 달했던 승인율은 2023년 27%(11건 신청→3건 승인)로 곤두박질쳤고, 지난해에도 불허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

 

송도에 투자를 계획했던 국내외 주요 기업들은 전력난이라는 장벽을 마주하고 있다.

 

바이오 대기업 A사는 18㎿, 30㎿, 45㎿, 30㎿ 등 네 차례 전력을 신청했지만 소용량 1건만 승인됐고 3건이 불허됐다.

 

반도체 기업인 B사도 40㎿ 공급이 승인된 이후 증설을 위해 최근까지 5건을 추가 신청했으나 4건이 막혔다.

 

C사도 2023년 1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6차례 증설을 신청했지만 5건이 불허돼 반복적인 투자 좌절을 겪고 있다.

 

사실상 전력 인프라 부족에 따른 불확실성이 단순한 행정 지연을 넘어 기업의 생산과 고용, 투자 계획 전반에 중대한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송도국제도시 계획 당시 전체 전력수요는 1689㎿로 원자력발전소 1기 이상의 발전 용량에 해당하지만 현재 공급량은 700㎿에 불과해 수요의 41% 수준에 그치고 있다.

 

허 의원은 “2023년 이후 대용량 전력 신청의 80% 거부된 것은 송도의 전력망이 사실상 포화 상태라는 명백한 증거다”며 “기업들은 기약 없는 기다림 속에 투자, 고용 등 경영 계획 전반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선 한전의 전력 확충 사업이 지역 주민의 반대와 맞물려 지연되면서 사실상 예고돼 왔다고 입을 모았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20년 12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세우고 송도 전역에 전력을 공급할 대규모 공사 계획을 세웠다.

 

매년 아슬한 전력 공급 탓에 ‘블랙아웃(대정전)’을 우려돼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자파 등을 걱정한 지역 주민의 반발에 공사는 늘 가다 서다를 반복하고 있다.

 

올해 2분기부턴 공사 구간 일부가 터널에서 관로로 시공 계획이 변경되면서 지역 주민들이 안정성 등을 우려한 민원을 연수구에 제기, 송도 일대 진행 중인 모든 송전망 공사가 중지됐다.

 

학계의 한 교수는 “좁은 차선으로 변경되는 구간에 심각한 도로 정체가 생기듯 전력도 마찬가지다”며 “초고압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선 이에 따른 인프라를 갖추는 게 우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구 관계자는 “당초 계획한 시공 방법이 변경됐음에도 관련 자료가 부족,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되면서 공사가 중단된 것”이라며 “우리로서도 주민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고 해명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