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체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50%를 넘어서면서 복구 상황이 점진적 회복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20일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 시스템 총 709개 시스템 중 373개가 복구돼 전체 시스템의 52.6%가 정상화됐다.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1·2등급 시스템 복구율은 각각 77.5%, 64.7%다.
윤 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종합관리시스템' 복구로 장기 이식 환자의 수술 일정과 혈액 공급 관리가 정상화됐고 내일부터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이 복구돼 온라인 화장장 예약 신청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긴급 구조와 재난 현장 대응에 이용하는 소방청 '구조·생활 안전활동정보시스템'도 복구됐다.
윤 본부장은 "7전산실의 스토리지 복구가 완료됐다"며 "데이터 복원 기반이 확보된 만큼 시스템 복구가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대전 본원의 경우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5층에는 7·7-1·8 전산실이 있다. 실제 화재는 7-1전산실에서 발생했지만 인접한 7·8전산실도 분진과 연기 피해 등을 봤다.
정부는 현재 미복구 시스템으로 인한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야별 대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예로, 국민신문고 관련 서비스는 시군구의 새올 상담 민원 창구를 통해 접수가 가능하다. 각 기관의 우편·팩스·방문 창구도 함께 운영된다.
윤 본부장은 "남은 복구 과정에서도 서비스의 안전성과 데이터 보존을 최우선으로 해서 복구를 진행하겠다"며 "복구가 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작업 여건을 세심히 관리하고 무리한 일정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