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아파트 대출을 옥죄면서 실거주 의무가 없는 오피스텔과 빌라 등 비아파트 시장으로 투자자금이 이동하고 있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오피스텔과 빌라에 대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70%를 유지하도록 조정했다. 당초 10·15 부동산 대책에서는 비아파트까지 LTV를 40%로 낮추겠다고 발표했지만, 시행 이틀 만에 기존 수준으로 되돌린 것이다.
이로 인해 아파트 매입이 어려워진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비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11% 상승하며 반등했다. 전세의 월세화가 이어지면서 임대 수익률도 연초 4.90%에서 9월 기준 4.97%로 소폭 상승했다. 특히 전용 40㎡ 이하 소형 오피스텔 수익률은 5.26%에 달한다.
광화문·여의도 등 중심업무지구(CBD) 인근 오피스텔에 투자 문의가 집중되고 있다. 서울 종로구 한 공인중개사는 “아파트 대출이 막히자 상대적으로 진입이 쉬운 오피스텔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가 늘었다”며 “공실 부담이 적고 임차 수요가 안정적인 지역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빌라도 대체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심 주변 노후 저층 주거지는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기대감까지 겹치면서 중장기 투자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 당장 아파트 매수는 어렵지만, 재개발을 거쳐 새 아파트로 탈바꿈할 가능성이 있는 빌라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시장의 한계를 경고한다. “부동산 시장의 중심은 여전히 아파트”라며 “오피스텔이나 빌라는 거래 회전율이 낮고 환금성이 떨어질 수 있어 풍선효과가 오래 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핵심지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빌라와 오피스텔이 대체 상품으로 부각될 수 있다”면서도 “무주택자가 빌라를 매입하면 대출과 청약 기회가 제한되고, 이후 매도 시점에서도 매수층이 제한적이어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