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2℃
  • 흐림강릉 19.9℃
  • 박무서울 23.0℃
  • 구름많음대전 23.7℃
  • 구름많음대구 22.1℃
  • 박무울산 21.8℃
  • 흐림광주 22.9℃
  • 구름많음부산 22.8℃
  • 구름많음고창 23.5℃
  • 흐림제주 24.4℃
  • 맑음강화 21.2℃
  • 구름많음보은 21.6℃
  • 구름많음금산 23.9℃
  • 구름많음강진군 22.1℃
  • 구름많음경주시 21.6℃
  • 구름많음거제 22.6℃
기상청 제공

"권역별 교통정책 시급하다"

경기개발연구원 道內 7개 소그룹별 교통망구축 제시

수도권의 극심한 교통혼잡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기도내 시·군을 권역으로 묶는 교통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9일 경기개발연구원은 ‘경기도 교통수요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도내 만성적인 교통혼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따라 혼잡 여건이 비슷한 지역을 7개 권역으로 나눠 개별적으로 교통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연구보고서에서 수원·안산, 성남·고양·부천·고양·안양·의정부·시흥·광명·군포, 용인·남양주, 구리·의정부·하남·오산·과천, 화성·김포·광주, 파주·이천·안성·양주·여주·양평·가평·연천, 평택 등 7개 소그룹별 교통정책을 제안했다.
수원과 안산의 경우 성남, 고양, 부천에 비해 서울 이동인구가 적은 점을 감안해 도심에서 외곽을 연결하는 교통망을, 성남·고양·부천은 서울로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서울 통행 의존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 혼잡통행료나 주차료 부과정책 등을 강화해 승용차의 출·퇴근을 차단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도내 31개 시·군별로 개별적인 교통정책을 수립해 서울을 잇는 수도권 주요 도로의 교통혼잡이 불가피했다.
경기개발연구원 류시원 책임연구관은 “수도권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행정구역이 아닌 생활권 단위의 교통수요관리방안이 추진돼야 한다”며 “이는 대중교통서비스의 개선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