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 국정감사를 앞두고 여야는 28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증인 채택 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운영위의 대통령비서실 국감은 다음 달 6일 예정돼 있으며, 증인 출석 요청을 위해서는 29일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의결을 해야 한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은 국감에 출석하지 않아도 되는 ‘면출(免出)특권’이라도 가진 것이냐”며 국감에 반드시 출석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야당에서 계속 정쟁거리로 이용하는 것을 우려해 아직 증인 채택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대통령실 비선 의혹을 밝히는 것은 국회의 헌법적 책무이자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며 “각종 국정농단 의혹을 받는 김 실장은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국감에 출석해야 한다”고 강력 촉구했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운영위가 김 실장의 증인 채택을 논의하자 민주당은 회의 자체를 연기시키며 방패막이처럼 총력 방어에 나섰다”며 “왜 김 실장만 예외인 것이냐. 김 실장은 더 이상 숨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어 “당당하다면 국회에 나와 해명하라”며 “운영위 국감 당일 ‘대통령 일정 수행으로 불가피하다’는 불출석 사유서를 내며 또다시 국민을 기만하지 않길 바란다”고 엄포를 놓았다.
반면 민주당은 김 실장의 출석 여부를 놓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국민의힘을 견제했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정감사대책회의 이후 백브리핑을 통해 “부속실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국정감사에서 본질에 벗어나지 않는 질의를 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그러나 야당에서 계속해서 정쟁거리로 이용하려고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20년 전 이야기부터 말도 안 되는 여러 가지 의혹들만 가지고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것을 마치 사실인 양 정쟁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것들을 우려해 아직까지 증인 채택 결정을 내리지 않은 것이다. 논의해서 내일 채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야당에서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하면 부르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
합리적 이유를 제시한 게 있느냐는 질문에 “아직 만나지 않아서 모르겠다”며 “여야가 증인과 참고인 관련해 리스트업을 하고 리스트를 교환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남아있다”고 답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한주희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