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완공된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에 다수의 이용객이 몰리고 있지만 정식 개방 일주일 만에 난간 케이블이 끊어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대형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임에도 정작 여주시는 남한강 출렁다리가 '경기도 안전관리 우수사례'로 남한강 출렁다리가 선정됐다며 자체 홍보에 나서 논란을 빚고 있다.
6일 경기신문 취재에 따르면 여주시 천송동에 위치한 ‘여주 남한강 출렁다리’는 높이 35m, 길이 515m, 폭 2.5m 규모로 지난 5월 1일 정식 개방했다. 시는 다리 중간에 ‘프로포즈 존’을 설치해 관광 명소로 홍보했지만, 개방 일주일 만에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본지가 입수한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 업무일지에 따르면 같은 달 8일, 출렁다리 중간 ‘프로포즈 존’ 구간의 난간 케이블이 끊어졌다. 당시는 여주 도자기축제 기간으로 약 116만 명의 관광객이 몰린 시기였다. 사고 당시 추락 방지를 위한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자칫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했다.
시는 다음날인 9일 긴급 보수작업을 진행했지만, 완전 복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출렁다리 이용을 허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조치가 미비했음에도 출입 제한 구간 없이 운영이 계속된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출렁다리가 완공 후 법적 안전관리 절차인 ‘시설물 지정’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행법상 대형 구조물은 완공 후 한 달 내 국토교통부나 행정안전부에 제1·2종 시설물로 지정 신청을 해야 한다.
그러나 여주시는 이를 이행하지 않았으며, 지자체가 자체 지정할 수 있는 제3종 시설물로의 전환도 늦어지고 있다. 현재 시는 뒤늦게 제3종 시설물 지정을 추진 중이다.
여주시 관계자는 “제3종시설물로 지정되면 법적 근거와 예산이 확보돼 초음파 비파괴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12월쯤 지정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보수 작업 당시 안전요원 배치와 접근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미 케이블이 끊어진 이상 단순 육안 점검이 아니라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지적 한다. 한 구조안전 전문가는 “외부에서 절단된 케이블이 있다면 내부 와이어도 손상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비파괴 검사를 통해 전체 하중 안전성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여주시는 지난 10월 남한강 출렁다리를 ‘경기도 안전관리 우수사례’로 홍보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공식적인 우수사례 선정이 아니라, 단순히 지자체의 안전관리 사례를 소개한 수준”이라고 선을 그었다.
도 관계자는 “출렁다리 관리 체계나 안전장비 구비 상황을 소개한 것뿐이며, ‘우수사례’로 선정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결국 출렁다리는 제도적 안전망도, 실질적 점검 체계도 없이 수십만 명의 시민이 오가는 구조물로 남아 있다.
관광명소보다 먼저 지켜져야 할 것은 시민의 생명이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