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언론인클럽이 생성형 AI(인공지능) 시대 언론의 취재·보도 준칙 마련을 위한 좌담회를 오는 10일 오후 2시 수원컨벤션센터 화상회의실 연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이 뉴스 생산과 유통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가운데 언론계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취지다.
생성형 AI는 이미 기사 작성 보조, 데이터 분석, 독자 맞춤형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방대한 정보의 신속한 처리 능력을 기반으로 뉴스룸의 생산성과 기
획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부정확하거나 편향된 학습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된 정보가 그대로 기사에 활용될 경우 사실 왜곡과 허위 정보 확산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AI에 의존한 자동화가 심화되면 취재의 윤리성, 책임성, 전문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저널리즘의 기본 가치인 정확성·객관성·다양성·책임성 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이번 좌담회에서는 ▲AI 활용 취재 과정의 검증 기준 ▲AI 생성 콘텐츠 표기 문제 ▲저작권 분쟁 가능성 ▲인간 기자의 역할 재정립 등 다양한 논점이 다뤄질 예정이다. 경기언론인클럽은 이를 통해 언론계가 마련해야 할 실질적 가드라인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경기언론인클럽 관계자는 “언론의 AI 활용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지만, 그만큼 위험 관리와 윤리 기준 확립이 중요하다”며 “공론을 통해 언론의 책임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기술과 조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신소형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