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2.4℃
  • 맑음강릉 5.0℃
  • 맑음서울 3.4℃
  • 맑음대전 3.6℃
  • 맑음대구 6.0℃
  • 맑음울산 5.2℃
  • 흐림광주 6.0℃
  • 맑음부산 6.7℃
  • 구름많음고창 4.2℃
  • 제주 10.2℃
  • 구름조금강화 0.4℃
  • 구름조금보은 3.1℃
  • 맑음금산 3.4℃
  • 구름많음강진군 6.9℃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6.2℃
기상청 제공

국립수목원, 한반도 희귀식물 정향풀 대량증식 기술 개발 성공

수용성 식물호르몬(옥신) 처리로 발근율 93.3%
삽수당 평균 17개 뿌리 형성 및 보전 및 활용 기반 마련

 

포천시 소재 국립수목원은 한반도 희귀식물인 정향풀(Amsonia elliptica)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삽목(줄기 조각을 심어 번식하는 방법)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자생식물 대량증식 기술개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경국대학교와 협력을 통해 수행했다.

 

새로게 개발된 기술은 삽목 재료를 심기 전, 수용성 옥신(식물 성장 호르몬) 용액에 짧게 담가 전처리한 뒤, 심는 방식으로서 실험 결과 발근율이 93.3%에 달했으며, 삽수 한 개에서 평균 17개의 뿌리가 형성되어 묘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사용 재료 또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절차도 간단하여 현장 적용성이 높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러한 정향풀은 우리나라 서,남해 섬 지역과 동해안 일부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희귀식물로서 개체군이 흩어져 있는 등 그 수가 적어서 보호가 시급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수목원과 식물원 현지외 보전은 물론, 자생지 복원연구에 필요한 건강한 묘목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오는 12월호에 게재한다고 말했다.

 

 

이에 산림청 국립수목원 임영석 원장은 희귀식물인 정향풀은 우리 식물다양성의 소중한 자산이라며, 누구나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묘목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이번 연구를 통해 마련한 만큼, 지자체와 민간과의 협력을 확대하여 자생지 복원과 보전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향풀 연구에 나섰던 국립경국대학교 이승연 교수는 우리나라 자생 희귀식물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영양번식 기술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밝힌 가운데 앞으로 국립수목원과 협력을 통해 유용 식물자원의 보존과 대량증식 기술 개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성운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