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시민활동통합지원단 공익활동지원센터는 안성이주민인권모임과 함께 기획·공동주최한 지역이슈 원탁회의 ‘다(多)문화 안성in’을 지난 15일 개최했다. 이날 공론장에는 이주민 30여 명을 포함해 총 60여 명이 참석하며 안성의 다문화 현실을 공유하고 향후 정착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공론장은 안성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하는 이주민들이 실제 안성에서 겪는 어려움과 지역사회와의 공존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행사에는 20년 차 이주민부터 중도입국 고려인 청소년, 결혼이민 여성 등 다양한 배경의 참여자가 모여 각 모둠별로 경험과 의견을 자유롭게 나눴다. 안성시 공무원과 지역 활동가들도 함께하며 허심탄회한 대화를 이어갔다.
러시아 출신 고려인 최예브기니 씨는 “고려인들이 많이 정착해 살고 있지만 지역의 따뜻한 도움과 관심이 필요하다”며 “역사적 이유로 떠났던 부모의 나라에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함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도입국 학생 대표로 참석한 비룡중학교 학생은 한국어 학습 격차를 주요 문제로 지적했다. 그는 “학생마다 언어 수준이 달라 진학 과정에 어려움이 크다”며 “교육청 차원에서 맞춤형 교육과정이나 원어민 교사 확충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공론장은 총 5개 모둠으로 운영됐으며, 각 모둠에는 특화된 퍼실리테이터가 배치돼 참여자들의 의견을 세심하게 들었다. 도출된 의견들은 전체 발표 시간을 통해 공유되며 안성 이주민 정책의 현실을 다각적으로 점검하는 계기가 됐다.
기조 발제를 맡은 정인교 안성이주민인권모임 대표는 “이주민도 세금을 내고 선거권을 가진 시민”이라며 “인구 10%를 차지하지만 이들을 위한 예산은 3%도 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라도 정책과 예산 투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오늘 나온 의견은 모두 절실한 내용”이라며 “행정의 관심도 중요하지만, 지역사회가 이주민을 시민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함께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론장에는 시민단체, 안성시청, 안성가족센터, 이주민지원센터, 안성교육지원청, 일선 학교 등이 함께했으며, 모둠 퍼실리테이터는 공익활동지원센터 양성과정을 거친 시민활동가들로 구성돼 지속가능한 논의 구조를 마련했다. 공론장에서 제시된 의견들은 추가 논의를 거쳐 2026년 안성시 정책 반영을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