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맑음동두천 3.0℃
  • 맑음강릉 10.1℃
  • 맑음서울 4.6℃
  • 맑음대전 7.7℃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조금울산 8.2℃
  • 맑음광주 8.9℃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1.9℃
  • 맑음강화 1.0℃
  • 맑음보은 7.4℃
  • 맑음금산 8.3℃
  • 맑음강진군 9.1℃
  • 구름조금경주시 10.3℃
  • 맑음거제 10.7℃
기상청 제공

수원시, 정부·지자체·전문가 지방소멸 대응 위한 '도농 상생협력 제도화' 논의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농촌 상생협력 정책토론회'

 

정부와 지자체, 학계, 연구 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을 찾기 위해 나섰다. 수원시는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농촌 상생협력 정책토론회'를 열고 도농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을 모색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도시, 농촌이 함께 대응해야"

 

이재준 수원시장은 "지방 소멸은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도 위협하는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라며 "이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도시와 농촌이 하나의 공동체로서 지방 소멸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시와 봉화군이 함께 추진한 '청량산 수원캠핑장' 사례는 도시와 농촌이 신뢰로 연결된 첫 실천적 도농상생 모델"이라며 "수원-봉화군의 상생협력이 제도적 협력 모델로 자리 잡고 전국 곳곳으로 확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토론회가 도시와 농촌의 상생협력이 제도화되고 각 지역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며 "도시가 지방을 돕고, 지방이 도시를 살리는 새로운 연대의 길을 시가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토론회에서 이 시장과 조동두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박시홍 봉화군 부군수는 '도시·농촌 상생협력 제도화를 위한 지방소멸 대응 대정부 정책 건의문'을 채택했다.

 

◇지방 소멸 대응 현실적 전략

 

주제 발표는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지방 소멸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 이차희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역 간 인구격차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지원 중심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원-봉화 협력 사례처럼 지방정부가 주도하고 민간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기능적 연계를 기반으로 한 도농 상생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농 간 생활 인프라 상생협력, 수원과 봉화의 사례'를 발표한 김도영 수원시 정책실장은 청량산 수원캠핑장 사례를 소개하며 "도시민의 확실한 여가 수요와 농촌의 유휴 자연 자원을 결합한 '생활인프라 기반 도농 상생 모델'은 지방 소멸 대응에 있어 가장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농촌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을 발표한 오형은 지역활성화센터 대표는 지방 소멸의 핵심 해결책으로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거버넌스 구축과 기능적 연계 강화'를 제시했다.

 

◇도농 협력 모델의 제도화, 중앙·지방 간 역할 정립 필요


도농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방안으로는 지속가능한 협력 프로그램 운영, 도농 상생 협의체 구성, 관계 인구·생활 인구 확대 전략, 농촌 정주 여건 개선 등 의견이 나왔다.

 

이 시장은 "지방 소멸 대응을 위해 도시와 농촌이 함께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 의미 있는 토론회였다"며 "토론회를 공동 주관한 연구 기관과 공동연구를 시작으로 도농 상생 입법 과제 모색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도시-농촌 간 상생협력 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