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담뱃값 인상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7월 보건복지부가 ‘2010년 상반기 흡연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인 평균 흡연율은 42.6%로 지난해 연말대비 0.5%로 떨어졌지만 OECD평균 (28.4%)과는 2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이에 따라 보건당국이 흡연실태조사 발표 자료를 근거, 담뱃값을 8천원으로 올려야 선진국 수준인 30%대로 국내 흡연율이 떨어진다는 보고서를 발표해 여론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경제에 독이 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담뱃값 인상을 둘러싼 논란을 알아본다. /편집자주 ◇ 담배값 인상 논란 최근 질병관리본부는 ‘금연정책의 평가와 향후 흡연율 예측’이란 보고서에서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담뱃값 인상, 담배광고 제한, 금연구역 지정 등 7가지 금연정책 분석한 결과 1995~2006년 국내에서 시행된 금연정책 가운데 남성의 흡연율을 낮추는 데 담뱃값 인상이 가장 강력한 정책 수단(54.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 홍보 캠페인 32.9%, 금연구역 지정 9.3%,
인천경기지방병무청은 2011년도에 입영하는 카투사 모집병을 오는 9일부터 15일까지 병무청 홈페이지(http://www.mma.go.kr/)를 통해 인터넷 접수한다고 2일 밝혔다. 지원자격은 18세 이상 28세 이하(1982.1.1~1992.12.31 출생자), 중졸이상, 신체등위 1~3급의 현역병입영대상자이다. 접수개시일 기준 2년이내에 취득한 어학성적이 TOEIC 780점, TEPS 690점, TOEFL(IBT 83점, PBT 561점), G-TELP Level 2 73점, FLEX 690점 이상의 기준에 해당하면 된다. 지원자중 징병검사를 받지 않은 사람은 징병(신체)검사를 받아야 한다. 국외 거주자로서 카투사에 지원한 사람은 학사일정을 감안, 방학기간중 신체검사를 미리 받아두는 것이 좋다. 합격자는 11월 4일 공개선발절차를 거쳐 결정되며 지원시에 선택한 입영희망 시기(월)를 반영하여 2011년 1월~12월중 입영하게 된다. 카투사 지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병무청 홈페이지(모병센터) 또는 인천경기지방병무청 현역입영센터(031-240-7129)로 문의하면 된다.
수원서부경찰서는 1일 상습적으로 환각물질을 흡입한 혐의(유해화학물질관리법위반 등)로 C(34)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C씨는 지난달 31일 새벽 0시5분쯤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의 한 창고에서 환각물질인 액화부탄가스 3통을 비닐봉지를 이용해 흡입한 혐의다. 경찰은 C씨가 이전에도 수차례 환각물질 흡입으로 경찰에 입건된 점을 감안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하늘에 구멍이 뚫렸는지 양동이로 물을 쏟아 붓는 것 같았어요.” 지난달 28일과 29일 주말 이틀간의 집중폭우로 집이 쑥대밭이 된 수원 장안구 영화동에 사는 김모(54)씨는 또 1일다시 제7호 태풍 곤파스로 인해 비 100㎜가 내릴 것이라는 기상대 발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모르겠다고 하소연이다. 김씨는 “지난 주말 무섭게 무릎까지 빗물이 차오르는데 손쓸 겨를도 없었다”며 “TV, 전화기, 이불, 옷가지 등 가재도구 모두 흙탕물에 뒤벅범 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처럼 수원지역에는 지난 주말동안 무려 99mm의 비가 내려 물이 불어나면서 저지대층 주택과 반지하층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침수 피해가 많았다. 1일 오전 하늘에서는 뙤약볕이 내려 쪼였지만 영화동 침수가구 주민들은 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밖으로 꺼내 깨끗한 물로 씻으면서 아무리 해도 끝이 보이지 않는 일거리를 보며 한숨을 연거푸 내쉬는 상황이었다. 또 작년 여름 집중폭우로 인해 30여가구가 큰 침수피해를 당한 수원시 권선구 평동 일대 주민들 역시 걱정은 마찬가지. 이날 오후 1시쯤 평동 저지대 주택가에서 만난 이을수(68)씨에게 ‘폭우피해를 묻자’ 얼굴이 어두워 지며 안내한 인근 텃밭에는 이
휴대폰 이동통신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피해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1일 경기도소비자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동통신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상담은 지난 2009년 175건이 접수되었으며, 2010년 상반기만 84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수원에 살고 있는 K(60·여)씨는 지난 5월 C사에 가입하면서 복지카드 할인대상이라는 말만듣고 계약했으나, 최근 청구서를 확인해보니 금액할인이 전혀 되지 않고 있었다. 이에 K씨는 업체에 책임을 물었지만 계약당시 계약서를 확인하지 않은 데 대한 책임이 있다는 대리점의 안내를 듣고 어쩔 수 없이 요금을 물어야 했다. K씨는 “분명 가입당시 복지카드 할인대상자로 요금할인이 가능하다고 해 가입했는데, 청구된 요금이 달라 황당했다”고 토로했다. 앞서 안양에 사는 B(40대·여)씨 역시 지난 3월 초등학교 다니는 자녀 휴대폰을 구매하면서 초등학생 요금제 1만2천원으로 가입했지만 요금제를 확인하니 청소년 요금인 1만9천원이 적용돼 통신사 고객상담실에 항의했으나 납부된 요금을 돌려받을 수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 이처럼 주요 상담유형은 계약내용과 다른 요금 청구, 과다한 부가서비스요금 청구 등 부당한 이
인천·경기지방병무청은 병역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병무행정 안내 리플렛을 제작·배포했다고 31일 밝혔다. 리플렛은 전년도와 달라진 주요 병역제도, 병역면탈행위 등에 대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병무 부조리 신고방법 등 일반 국민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천경기지방병무청 관계자는 “2010년 경기국제항공전을 비롯한 각종 지역축제와 대학교 축제 시 병무행정 홍보 리플렛을 배포하여 국민들의 병무행정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병무부조리신고 등에 대하여 널리 알려 클린병무청 구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비상구 폐쇄 등 위반행위 신고포상제(비파라치)가 시행되면서 아파트 내 자전거 도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30일 도 소방재난본부와 도내 아파트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1일부터 아파트 복도나 건물비상구 장소에 물건을 쌓아 놓았을 경우 불이 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때 대형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비상구 폐쇄 등 위반행위 등에 대한 신고포상제가 시행 중이다. 이에 따라 누구든 위반 사항을 발견 시 사진이나 동영상의 증거자료를 첨부해 소방당국에 신고하면 건당 5만원의 포상금을 받지만 적발된 건물의 경우에는 첫 번째는 30만원, 두 번째는 100만원, 세 번째는 200만원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이에 도내 아파트 등에서는 복도나 비상계단에 세워둔 자전거 등을 이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 비상계단에 세워두던 자전거를 아파트 밖 자전거보관대로 이동조치 되면서 자전거가 통째로 없어지거나 일부 부품이 사라지는 등 도난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 7일쯤 수원시 우만동 A 아파트 입주민 박현승(44)씨는 평소 아파트 비상계단에 자전거를 세워두었지만 계단 적치물들을 치워야 한다는 관리사무소의 말에 자전거를 자전거 보관대 놓았다가 도난을 당했다.. 김씨는 “최근 들어 자
최근 보건복지부는 2011년 최저생계비를 4인가구 기준으로 144만원 수준으로 결정, 이는 올해 4인가구 기준 136만3천91원에서 5.6%인상된 금액이다. 하지만 최저생계비 결정기준이 일정품목에 대한 조사와 내년도 소비자물가를 반영한 결과로 실제 국민의 최저생활비와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기초생활수급당사자와 시민단체에서는 최저생계비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어 논란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편집자주 ▲ 2011년 최저생계비 지난 24일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생활보장위원회는 올해 4인 가구 기준으로 5.6% 오른 143만9천413원으로 인상 결정됐다. 특히 최저생계비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인상되지만 이번 2011년 생계비는 3년마다 한번씩 국민의 실제 생활실태 수준을 실제 조사해 최저생활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조사해 이를 반영했다. 계측조사는 지난 1월부터 4개월 여 동안 생계비와 주거비, 교육비, 의료비 4개 부분으로 나눠 총 360여 개의 품목에 대해 실시됐다. 이에 따라 1인 가구의 최저생계비는 올해 월 50만4천344원에서 내년엔 53만2천583원으로, 2인 가구는 85만8천747원에서 90만6천830원으로, 3인 가구는 1
수원 서부경찰서는 수도권 일대를 돌며 주차된 차량에서 금품을 상습적으로 훔친 혐의(절도 등)로 L(40)씨를 구속했다고 29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L씨는 지난달 24일 오전 3시쯤 수원시 팔달구 고등동의 한 길가에 주차된 J(38)씨의 승용차 문을 열고 들어가 차량과 현금 등을 훔치는 등 지난 7월 24일부터 최근까지 수원과 천안, 춘천 등을 돌며 모두 18차례에 걸쳐 총 1천2백만원 상당의 금품을 훔친 혐의다. 경찰 조사결과 L씨는 지난 1998년 강원도교육청 공무원으로 일해오다 도박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공금 7천만원을 빼돌린 것이 들통나 파면당했으며 이번 에도 도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도내 주요 병원의 출입구나 응급실 앞에서 담배를 피우는 시민들이 늘면서 환자들이 고충을 호소하고 있다. 29일 경기도와 도내 병원 등에 따르면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은 1천㎡이상의 사무용 건물이나 공장, 공공기관 등은 금연구역에 해당되며 이들 건물을 금연구역과 흡연구역으로 구분해 지정하지 않으면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도내 상당수 병원들이 내부 전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면서 흡연자들은 불가피하게 출입구나 응급실 입구에 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이날 오후 1시쯤 수원시 팔달구 A대학병원 응급센터 건물 현관 앞에는 병원 방문객들이 삼삼오오 모여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더욱이 이곳에는 담배 꽁초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까지 마련돼 있어 현관 앞은 사실상 흡연구역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안산 J병원 역시 병원 방문객 등이 병원 건물 현관 앞 곳곳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J병원을 찾은 환자 L(34·화성)씨는 “현관 입구에서 담배를 피우면 냄새가 병원 내부까지 들어오는데 병원 건물 전체를 금연으로 지정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환자를 돌보는 장소에서 흡연은 너무한 것 같다”고 불평했다. A 대학병원의 한 관계자는 “병을 치료하는 병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