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투고 [기고] 중소기업 기술 개발 선순환, 공공구매(시범구매)를 통해서
웹서핑을 하던 중 우연히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에서 발간한 '2022 과학기술 통계백서'를 접하게 됐다. 우리 국가경쟁력의 한 축인 중소기업을 종합 지원하는 중기부의 일원이며 연구직인 나는 자연스럽게 백서에서 ‘과학기술 성과’ 부분의 ⓵과학경쟁력 ⓶기술경쟁력 ⓷국가경쟁력에 대한 내용을 먼저 살펴보게 됐다. 주요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과학경쟁력은 미국, 독일에 이어 3위이고 기술경쟁력은 19위인데 국가경쟁력이 27위(발전인프라 16위, 경제운용성과 22위, 기업경영효율 33위, 정부행정효율 36위)라고 돼 있었다. 이 결과는 백서 발간 배경을 생각할 때 '우리나라는 과학과 기술경쟁력이 국가경쟁력 향상에 실효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 원인을 찾아봤다. 2019년 10월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정감사에서 김기선(국민의힘) 의원이 ‘국가 연구개발과제 성공률이 거의 90%에 달하는데 실제 사업화 성공률은 그 반토막이며, 기술 사업화 예산은 R&D예산(약 20조 원)의 3.9%로 적고 오히려 줄었다’라며 ‘R&D과제 수행의 비효율성이 심각하다.’라고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것이 우리나라가 과학경쟁력에 비해 국가경쟁력이 턱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