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소제조기업 가동률이 지난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천354개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동률조사 결과, 6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 대비 1.0%p 하락한 70.8%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보유 생산설비의 월간 생산능력대비 해당 월의 평균 생산량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지난 1월(70.4%)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로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한 내수 판매부진과 TV, 휴대폰 등 일부 전자제품의 수출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중기중앙회 측은 분석했다. 규모별로 소기업(69.6%→68.8)과 중기업(76.4%→75.1)이 전월대비 0.8%p, 1.3%p 각각 줄었다. 유형별로는 일반제조업(71.2%→70.0)이 전월대비 1.2%p 하락했고 혁신형제조업(73.4%→73.2)도 0.2%p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섬유제품(72.8%→71.0%),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73.4%→72.4%), 전기장비(71.6%→70.1%) 등 총 22개 가운데 18개 업종이 하락했다. 반면 음료(71.1%→73.9%), 비금속광물제품(68.6%→70.5%) 등 4개 업종은 상승했다. 한편,
최근 커피전문점, 미용실의 권리금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거래소 점포라인(www.jumpoline.com)은 최근 2개월 간 자사DB에 매물로 등록된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점포매물 1천114개(32개 업종)를 이전 2개월 간 등록매물(1천176개)와 비교 분석한 결과 하락폭이 가장 큰 업종은 커피전문점으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커피전문점 권리금(점포면적 3.3㎡기준)은 지난 4~5월 633만3천255원에서 최근 2개월(6~7월) 462만8천853원으로 170만4천402원(26.91%) 떨어졌다. 금액으로는 32개 업종 중 낙폭이 가장 컸다. 이는 커피전문점 창업이 유행하면서 시장이 과포화된데다 자영업자 수 증가 및 경기침체 장기화로 신규창업 희망자가 줄어들면서 권리금도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커피전문점에 이어 미용실의 권리금도 크게 떨어졌다. 미용실의 권리금은 같은 기간 222만9천735원에서 133만7천298원으로 89만2천437원(40.02%) 내렸다. 하락률로는 커피전문점을 능가한다. 이외에 노래방 권리금은 265만3천130원에서 188만1천56원으로 77만2천74원(29.1%) 내렸고 피부미용실 권리금도 201만6천748원에서
기업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8월 전망치 원지수는 82.7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 진행 중이던 지난 2009년 3월(76.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7월 실적치(82.1) 역시 2009년 2월(6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지수는 100미만이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인이 긍정적으로 보는 이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스페인의 전면적 구제금융 가능성 등 유럽 재정위기 심화에 따른 기업들의 수출 부진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전망치가 크게 낮아진 것은 유럽의 위기가 독일 등 핵심국으로 확산될 우려와 중국의 경착륙 가능성이 기업들의 경기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전경련 측은 판단했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보면 고용(101.1)을 제외한 내수(88.1), 수출(93.5), 투자(97.0), 자금사정(91.4), 재고(107.0), 채산성(87.2)이 부정적으로 예측됐다. 업종별로는 경공업(83.3), 중화학공업(79.1) 등 제조업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은 9월 11~12일 63컨벤션센터에서 ‘자유무역협정(FTA) 유망품목 구매상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유통업체 구매담당자 40여명이 참석해 구매상담을 진행하며 현재 외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 기업들의 시장진출 설명회도 열릴 예정이다. 참가를 원하는 기업은 30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중소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www.sbc.or.kr)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이마트는 제품을 다 쓰고 빈 용기를 가져오면 같은 브랜드 제품을 최대 10% 할인하는 ‘친환경 보상판매 제도’를 26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벌인다. 사조, 오뚜기, 코카콜라, P&G, 매일유업 등 10개 브랜드가 이번 행사에 참여하며, 빈 용기를 각 점포의 고객만족센터에 가져가면 동일 브랜드를 5~10%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과 교환해 준다. 이마트는 앞으로 이 제도를 연중 운영하고 자원 재활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국내 중견기업들이 매출액의 80% 이상을 주력사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중견기업 353개사를 조사한 결과, 개별 중견기업의 주력사업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85.8%에 달했다고 26일 밝혔다. 주력사업의 성장 여력도 충분치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력사업의 성장 여력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9.7%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답했으며, ‘약간 남아있다’와 ‘충분하다’는 각각 47.6%, 12.7%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 중 48.6%는 ‘주력사업을 대체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견기업이 가장 크게 느끼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신성장동력 확보(29.7%)가 가장 많았고, 이어 자금조달(24.4%), 판로확보(16.1%), 조세부담(10.8%), 인력확보(7.4%) 순이었다. 또 하반기 경영여건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75.6%가 ‘어렵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는 ‘내수시장의 부진’(45.7%), ‘해외시장의 불안’(36.7%), ‘시장포화 및 주력업종 산업정체’(11.2%), ‘유가 및 원부자재가 상승’(4.5%) 등을 꼽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중견기업의 주력사
Q.월 수입 대비 과도한 보험료 리모델링 신랑 직업이 군인으로 평균 급여가 월 300만원(세후) 정도입니다. 보험은 남편이 교보 종신보험과 CI보험으로 총 금액 38만원, 저는 현대해상 보험 8만원 정도를 가입했습니다. 여기에 아이의 화재보험과 생명보험 각 8만원과 기타 운전자보험까지 매월 60만원 가량이 총 보험료로 소요됩니다. 이외에 신랑용돈 25만원, 관리비·도시가스·렌탈료·핸드폰요금 등 공과금 40만원, 생활비 50만원 등을 월별로 지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출은 3천만원 정도 있습니다. 저의 가정이 월 수입 대비 보험료 지출이 좀 많은 것 같은데요. 저희 집의 보험 설계에 대한 평가와 올바른 충고 부탁드립니다. A.보장성 보험료는 분명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월 60만원이 넘는 보험료는 소득에 비해 너무 과도하다고 생각되며 가입된 보험내용을 보더라도 아무리 직업적 특성을 고려해도 문제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CI보험은 사망에 대한 보장이 아니라 중대한 질병이 발생될 경우를 위한 보험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중대한 질병은 사망을 담보로 할 정도로 매우 치명적인 질병을 이야기하므로 보험사마다 약관에서 정한
“지난 28년 간 업무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본부에 부여된 경영실적 달성과 경기본부가 LH의 선도본부로 자리매김하고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이형주(54·사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지역본부장은 25일 취임 인터뷰 자리에서 본부장으로서의 각오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LH 경기지역본부는 3처 1센터·11부·15사업단의 조직으로 500여명의 직원이 한수이남 13개 시·군 소재 사업을 관할하고 있는 조직규모와 사업량이 최대인 본부다. 이형주 본부장은 이러한 LH 최대본부를 맡게 돼 영광이면서도 책임감에 어깨가 무겁다고 전했다. 올해 출범 3년을 맞아 경영정상화에 매진해야 하는 중대한 시기에 LH는 유럽발 경제위기,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전례 없는 경영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이 본부장은 이를 극복코자 하반기 본부 중점 추진계획에 대해 “경영환경과 각종 현안사항을 새롭게 인식해 판매촉진과 사업최적화를 기반으로 한 공사 재무안정성 증대에 본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판매역량 집중을 통한 공급목표 달
전월세 거래량이 4개월째 감소하며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든 지난달 거래건수가 10만건 이하로 떨어졌다. 국토해양부는 전월세거래정보시스템을 통해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확정일자 신고 기준)을 집계한 결과 총 9만7천594건으로 지난해 6월(10만 855건)보다 3.2% 줄었다고 25일 밝혔다.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 3월 12만6천806건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만5천305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2.3%, 지방은 3만2천289건으로 5.1%가 각각 줄었다. 특히 강남 3개구는 9.1% 줄어든 5천15건으로 올해 들어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8월부터는 가락 시영 등 재건축 이주가 본격화되고, 가을 이사철도 앞두고 있어 8월 이후 거래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4만5천800건, 아파트 이외의 주택이 5만1천800건으로 각각 4.9%, 1.7% 감소했다.
가을 이사철을 준비하는 실수요자라면 오는 8월 입주 물량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이달에는 수요층이 두터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가구 입주 물량이 1만537가구로 전체 물량의 80%에 달한다.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오는 8월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포함)는 총 23곳, 1만3천9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만6천304가구) 대비 20% 감소한 수준이다. ◆경기도 = 총 6곳에서 4천353가구가 입주예정으로 평택시와 용인·고양시 입주 물량이 주를 이룬다. 평택은 평택소사벌 A-1,2블록(2천52가구) 메머드급 국민임대 입주를 비롯해 3천510가구가 쏟아질 예정으로 모두 중소형 단지로 구성됐다. 또한 용인시 수지진산푸르지오(438가구)가 전용114㎡ 31가구를 제외한 407가구(92%)가 중소형으로 들어서며 고양시 삼송지구 호반베르디움(405가구)은 전용84㎡ 단일면적이다. ㈜효성이 평택시 소사벌택지개발지구 내 가장 큰 단지규모로 지어올린 효성백년가약은 전용면적 84㎡ 단일주택형 지하 1층~지상 15층, 22개동 총 1천58가구로 구성됐다. 경부고속도로와 평택~제천간 고속도로를 이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