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경(민주·군포1) 경기도의회 부의장은 4일 “스마트농업 확대,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강화, 청년·여성 농업인 지원 등 현장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이날 이천시 예스파크에서 열린 ‘제64주년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정 부의장은 “농촌 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농업인들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전한다”며 “농업인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이며, 우리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농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기후위기, 인구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변화 속에서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아울러 정 부의장은 “오늘의 만남이 경기지역 농업의 새로운 도약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는 농업 현장의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행사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4일 용산 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 열린 ‘2025 Best of CHAMP’ 시상식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전국 최우수기관에 선정됐다. 이번 시상은 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해 전국 지역산업 맞춤형 공동훈련센터 운영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로 기업과 근로자의 직무 역량을 높이고 산업현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과원은 다년간 축적된 운영 노하우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관리 역량을 토대로 전국 65개 지역산업맞춤형 공동훈련센터 중 1위를 차지하며 최우수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행사에는 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관계자, 전국 공동훈련센터 운영기관 대표, 산업계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해 각 지역 센터의 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했다. 경과원은 훈련 실적, 교육 전담자의 전문성, 참여기업과 교육생 만족도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우수성과를 거두며 전국 공동훈련센터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았다. 지난해 경과원은 877명의 교육 수료생을 배출하며 목표 대비 146%라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계층별 리더십 ▲이러닝 ▲기계·IT·품질 등 20여 개 분야의 맞춤형 직무 교육을 제공했고 최근 3년간 총 2218명의 교육생을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4일 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 2차 가해성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받는 최강욱 당 교육연수원장에 대한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정 대표가 당 윤리감찰단에 최 원장에 대한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 따르면 최 원장은 지난달 말 대전에서 열린 조국혁신당 대전·세종시장 행사 강연에서 혁신당 성 비위 사건에 대해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라고 하는 등 2차 가해성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최 원장은 혁신당 조국 전 대표의 아들에게 인턴 활동 확인서를 허위로 써준 혐의로 기소돼 2023년 대법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의원직을 상실했다. 최 원장은 지난달 이재명 정부 첫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들었고, 정 대표는 사면된 최 원장을 당 교육연수원장으로 임명했다.
경기도 경기장 내 모든 식음료점, 주변 푸드트럭에 다회용기를 도입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4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도내 프로축구-야구-농구-배구단(총 18개)과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을 체결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청이 일회용 컵과 일회용 음식 배달 용기가 들어오지 않는 것이 2년 반이 넘었는데, 불특정 다수가 들어오는 프로 경기장에서의 다회용 컵 사용은 뜻 깊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성패의 핵심은 결국 우리 주민과 국민 생활 속 체화”라며 “정부 정책의 화룡점정은 국민, 도민 삶 속에 체화시키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그 첫걸음을 떼었다”면서 “이번에는 프로구단이지만, 다음에는 더 많은 우리 도민들 삶 속에 체화될 수 있도록 (도와 프로구단이) 선도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도와 도내 모든 프로 스포츠구단의 다회용기 사용 협약은 전국 최초다. 도와 구단이 협력해 경기장 내 식음료점과 주변 푸드트럭에 다회용기를 공급하고 관중이 사용하게 한다. 관중이 반납한 다회용기를 대여업체에서 수거한 뒤 세척 후 재공급한다. 구단들은 다회용기를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반납 부스’를 운영하거나 ‘
경기도 내 승용차 이용률 대비 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률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연구원 ‘경기도 철도역 환승주차장 연계이용 개선 연구’에 따르면 도내 승용차 이용률은 47.0%, 버스 13.8%, 철도·도시철도는 4.8%로 조사됐다. 광역 이동 시 목적지까지 전 구간을 승용차로 이동하는 응답자(120명. 2개 항목을 우선순위 선택) 55.8%는 그 이유로 ‘지하철 승차 및 환승 시간이 오래 걸려서’라고 답했다. 이어 ‘가족 또는 동승자와 함께 이동’(41.7%), ‘날씨, 짐 등 개인 상황’(40.8%) 등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광역 이동 시 지하철 이용할 때 필요조건으로는 ‘출발지 또는 목적지 인근 철도역 신설 또는 노선 확충’(60.0%)과 ‘역 인근 공영주차장 확보’(55.8%), ‘환승객 요금감면 혜택’(40.8%)을 꼽았다. 승용차를 이용, 철도로 환승하는 응답자 480명은 지하철역까지 승용차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버스 등 대중교통 배차 간격이 길어서’(46.3%)와 ‘대중교통 이용 시 소요 시간이 오래 걸려서’(44.6%)를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환승주차장 이용객은 지하철(철도) 환승 시 주차장 선택 요인으로 ‘주차 공간
경기도와 수원시가 공동개최한 ‘2025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산업전’이 총 1만 3000여 명이 참여하며 역대 최대 규모와 성과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산업전은 지난달 27~29일 사흘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전시 규모와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해 183개 기업·기관이 350개 부스를 운영했다. 주요 참여 기관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화쎄미텍,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등 글로벌 선도 기업과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이다. 부스에서는 최신 반도체 패키징 기술과 연구 성과를 선보이며 국내외 업계 호응을 얻었다. 특히 올해 처음 함께 열린 ‘2025 ISES Korea’와의 합동 개막식에서는 글로벌 협력 퍼포먼스와 테이프 커팅식이 진행돼 이목을 끌었다. 이번 산업전은 반도체 분야 혁신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문 전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산·학·연 협력으로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발판을 마련했다. 반도체 패키징 트렌드 포럼을 비롯한 전문 컨퍼런스와 국내 주요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주관한 기술세미나에는 총 2076명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트렌드 포럼에는 372명, 소부장융합기술포럼의 심포지엄에는 350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