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5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경기도 선수단이 연일 선전하며 메달 281개(금97, 은71, 동113)를 수확했다. 메달 순위에서 1위에 올라 있는 경기도(13,715)는 종합득점에서 경남(15,545), 충남(14,848), 서울(14,088)에 이어 4위를 달리고 있다. 15일 17시 현재, 경기도는 오늘 하루에만 금메달 18, 은메달 5, 동메달 19개를 수확하는 등 모든 종목에 걸쳐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있다. 역도 남고부 96kg급에 출전한 김동우(경기체고)는 합계, 인상, 용상을 모두 싹쓸이하며 3관왕에 올랐고, 남고부 109kg급 이상에 출전한 김건(평택고)이 인상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 육상 남대부 높이뛰기 이재호(용인대)도 2m의 기록으로 시상대 가장 높은 곳에 올랐으며 육상 100m허들 여일부 조은주(용인시청)는 13.44초로 결승점을 통과해 우승했다. 육상 남고부 4x100mR에 출전한 손호영(경기체고), 이민준(덕계고), 김하현(전곡고), 김홍유(전곡고), 나마디조엘진(김포과기고)은 40.58로 대회신기록을 기록하며 역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유도 남대부 개인전 81kg이하급에 출전한 이준환(용인대)과 유도 여대부 개인전 70kg이하급에…
경기도는 경기도청 컬링팀이 캐나다 컬러스코너 어텀 골드 컬링 클래식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11~14일 캐나다 캘거리컬링클럽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신동호 감독의 지휘 아래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가 팀을 이룬 도청 컬링팀이 중국 팀 왕루이를 7-1로 제치고 우승하며 지난 2022년, 2023년 우승에 이어 올해 역시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도청 컬링팀은 예선전에서 3승 2패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전에서 전북도청을 6-3으로 제압하며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지난 2022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일본 로코솔라레를 상대로 6-2 쾌승을 거뒀다. 준결승에서는 캐나다 로빈 실버네이글을 8-5로 제압해 결승에 올랐으며 결승에서 중국 왕루이와 마주했다. 팀 왕루이는 범대륙선수권(PCCC)와 오는 2025년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도청 컬링팀과 함께 대항마로 손꼽히는 팀이다. 결국 결승에서 도청 컬링팀이 팀 왕루이를 상대로 7-1 완승을 거두며 올 시즌 경기도 동계 대회의 전망을 밝게 비췄다. 한편 도청이 3연패를 기록한 '어텀 콜드 컬링 클래식'은 최초의 여성 세계 컬링 투어로 그랜드슬램 대회에 속한다. 이번 대회에서는…
"큰 목표나 계획 구체적으로 정해놓은 건 없어요. 그저 기록이 꾸준히 늘기를 바랄 뿐이죠" 15일 경남 고성군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5일째 역도 남자 18세이하부 96㎏급에서 인상, 용상, 합계 3관왕을 차지한 김동우(경기체고)가 무덤덤하게 말했다. 김동우는 이날 인상 3차 시기에서 136㎏를 들어올리며 김정우(대구체고·135㎏)와 박현우(경남체고·126㎏)를 제치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용상 2차시기에서는 175㎏에 도전했지만 실패하고 3차시기에 재도전해 박현우(174㎏)와 임지혁(온양고·172㎏)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수확했다. 김동우는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에서도 311㎏로 박현우(305㎏)와 김정우(295㎏)를 누르고 결국 전국체전 첫 금메달을 따내며 이번 경기도에서는 네 번째로 3관왕 자리에 올랐다. 애당초 김동우가 자신있었던 종목은 용상이었다. 오히려 인상에서 자신이 없었다. 그러나 긴장한 탓인지 김동우는 인상 1,2,3차 시기 모두 바벨을 들어올리며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용상 2차 시기에서 바벨을 떨궈 다소 불안한 상태에서 도전한 3차 시기에 결국 성공했다. 그는 "너무 긴장했던 것 같다"며 "인상 기록은 마음에 드는
SSG랜더스 구단은 "25시즌에 김강민(41) 선수의 은퇴식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SSG는 15일 김강민이 23년 동안 활약하며 보여준 노고와 5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은퇴식을 개최하기로 했다. 김강민은 2001년 SK와이번스 시절 2차 2라운드로 입단해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지난해까지 23년동안 SK와 SSG에서 뛰며 총 5차례(2007·2008·2010·2018·2022년)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22시즌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한 김강민은 23시즌 동안 1,919경기에 나와 타율 0.274, 1,470안타, 138홈런, 674타점, 805득점, 209도루를 기록했다. SSG의 프랜차이즈스타로 자리매김한 김강민에 대해 팬들은 백넘버 영구결번을 주장할 만큼 SSG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김강민이 지난 시즌 후 35인 보호명단에서 빠지고 한화의 지명을 받아 한화이글스로 옷을 갈아입으면서 팬들은 큰 충격에 빠졌다. SSG에서 은퇴할 것인가. 이적 후 선수생활을 연장할 것인가 기로에 선 김강민의 선택은 선수생활 연장이었다. 그러나 세월을 비껴가지 못한 탓에 올해 41경기에 나와 타율 0.224 홈런 1, 안타 1
"한 세트만 잡아보자는 마음으로 침착하게 경기에 임했어요. 3세트부터는 상대 선수의 체력이 떨어진 걸 느끼곤 승기를 잡았다고 생각했죠" 15일 김해시 마산합포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5일째 스쿼시 여자 18세이하부 개인전 결승전에서 조아연(오남고)이 생애 첫 전국체전 금메달과 함께 경기도 스쿼시 종목에 첫 메달을 선물했다. 이날 결승전에서 조아연은 박솔민(광주 동일미래과고)을 상대로 3-2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값진 금메달을 따냈다. 1세트와 2세트에서 조아연은 박솔민에게 각각 13-11, 11-9로 내주며 세트스코어 0-2로 패색이 짙었다. 하지만 조아연은 포기하지 않았다. 이후 두 세트는 초반부터 점수를 내줬지만 차근차근 따라잡아 뒤집기에 성공했다. 그는 "결승전에서 한 세트도 못 이기고 끝낼 수는 없었다"며 "한 세트만이라도 잡아보자라는 마음으로 임했다"고 말했다. 조아연은 3세트 11-8 승리를 시작으로 그렇게 한 세트, 한 세트씩 박솔민을 따라잡기 시작했다. 경기가 진행될 수록 상대 선수의 체력이 떨어지는 게 눈에 보이자 조아연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더욱 공격적인 자세로 상대를 벽으로 몰아세웠다. 그는 "3세트부터 상대 선수 체력
경기도가 전국체전 3연패를 향해 순항 중이다. 경기도는 14일 오후 5시 30분 기준 경남 일원에서 열린 대회 4일째 49개 종목 중 17개 종목이 종료된 가운데 금 72개, 은 60개, 동 90개 총 222개의 메달로 종합점수 1만 2516점을 획득하며 4위에 올라있다. '개최지' 경남이 금 34, 은 31, 동 78로 1만 3994로 1위 선두를 달리고 있고 '라이벌' 서울(1만3199점, 금 62·은 60· 동 66)이 2위, 충남(1만3199점, 금 39, 은 44, 동 57)이 3위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회 4일차 경기도는 이날 박나영과 임수민 등 다관왕 배출과 함께 조정, 체조, 씨름, 궁도, 육상 등 종목에서 13개의 금메달과 20개의 은메달, 16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날 조정 남일부 쿼드러플스컬에서는 강우규, 남기욱(이상 수원시청), 이상민, 이학범(용인시청)이 팀을 이룬 경기도가 5분58초28로 금메달을 따냈다. 체조에서는 여고부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에서 박나영(경기체고)이 각각 12.283, 12.833, 12.700점으로 금메달을 따내며 지난 12일 단체종합에 이어 4관왕을 차지했고, 여고부 마루운동에서는 임수민(경기체고)이
14일 경남 김해 낙동강조정경기장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나흘째 조정 마지막날 오전 남자 일반부 조정 쿼드러플스컬 결승전에서 강우규(수원시청) 생애 첫 전국체전 금메달을 품에 안았다. 이날 쿼드러플스컬 결승전에서 강우규, 남기욱(이상 수원시청), 이상민, 이학범(이상 용인시청)이 팀을 이룬 경기도는 5분58초28로 2위 경북도청(6분33)과 3위 K-water(6분59)를 제치고 1위로 결승선에 도달했다. 그는 같은 날 오후 진행된 남일부 조정 싱글스컬 결승전에서도 7분6초32로 3위 김동용(진주시청·7분11초08)을 제치며 은메달을 수확했다. 강우규는 전국체전을 준비하며 체력과 자세에 집중해 훈련에 임했다. 그가 조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너무 강하지 않고 꾸준히 갈 수 있는 '적당한 힘'과 지구력이다. 몸을 풀 때나 훈련할 때도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준비해왔다. 팀원간의 합도 한 몫했다. 쿼드러플스컬은 4명이 함께 경기하는 사실상 단체전에 가깝다. 혼자 잘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같은 힘을 주고 같은 동작으로 나아가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그는 "함께한 선수들과의 팀워크가 잘 맞았다"며 "그 덕에 1등한게 아닌가 싶다"
"작년 3관왕의 부담감이 있었지만 이겨내고 이번 대회에서 좀 더 뽐낼 수 있었어요. 더군다나 경기체고가 이번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많이 내서 뿌듯합니다" 14일 경남 창원시 마산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나흘째 체조 여고부 마루운동에서 임수민(경기체고)이 금메달을 따내 지난 대회에 이어 올해에도 3관왕에 올랐다. 임수민은 이날 마루운동에서 12.967점으로 박나영(경기체고·12.533)과 이소혜(서울체고·12.067)를 제치고 금메달을 수확했다. 임수민은 지난 12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체조 단체종합에서도 강현희, 김서진, 박나영, 안채은, 원보경(이상 경기체고), 조은서(Joonast Gymclub)와 함께 191.400점으로 서울체고(183.367점)와 대구체고(163.567점)를 큰 격차로 따돌리며 정상에 올랐다. 이어진 개인종합에서도 51.499점으로 박나영(경기체고·50.967점)과 오소선(인천체고·46.533점)을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를 마치고 나온 임수민은 "조금 떨렸고 전국체전이어서 부담이 컸지만 경기 때만큼은 컨디션이 괜찮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 임수민의 여정은 대회 3관왕으로 화려하
"전국체전이랑은 운이 없었어요. 대학교 진학 후 1~3학년 모두 전국체전 결승전까지 진출했는데 매번 쓴 맛을 봤었죠" 14일 경남 김해시 김해문화체육관에서 열린 제105회 전국체육대회 나흘째 남자대학부 장사급140kg에서 김민호(경기대)가 고대하던 전국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민호는 예선을 기권승으로 따내 손쉽게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만난 이희창(단국대)도 김민호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비교적 쉽게 준결승에 진출한 김민호는 홍지흔(영남대)에게 다소 고전했지만 결국 2-1 역전에 성공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이번 시즌 4관왕으로 이미 동급 최강자로 인정받고 있는 김민호에게 적수는 없었다. 결승에서 만난 윤정민(울산대)을 배지기와 빗장걸이를 성공시키며 두 판을 연속으로 이겨 지금까지 인연이 없었던 전국체전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김민호는 대학교 1학년부터 꾸준히 전국체전에 출전했지만 번번이 정상의 문턱에서 무릎을 꿇었다. 이번 대회는 대학부 선수로서 김민호의 마지막 도전이었기에 각오가 남달랐다. 우승 후 김민호는 "너무 간절했다"며 "대학부 마지막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딸 수 있어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김민호는 준결승에서 맞붙었던 홍지흔 선수와의 경
도드람 2024~2025 V-리그가 오는 19일부터 6개월 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남자부 개막전은 전무후무한 통합 4연패를 달성한 대한항공과 OK저축은행이 인천계양체육관에서 맞붙는다. 여자부는 지난시즌 통합우승과 지난 6일 통영-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린 현대건설이 흥국생명을 홈으로 불러들여 맞대결을 치른다. ■ 본격 적용되는 'New Rule' 프로출범 20주년을 맞이해 주목할 점은 많다. 우선 경기적인 측면에서는 컵대회에서 시범 적용했던 세트당 비디오판독 2회와 그린카드, 국제배구연맹 (FIVB)에 발맞춰 랠리 중 심판이 판정하지 않은 반칙에 대해 ‘즉시’ 판독을 요청하는 중간랠리 비디오판독 등 바뀐 규칙도 새롭게 적용된다. 특히 경기의 페어플레이 가치를 제고하고, 불필요한 비디오판독 시간 단축을 위해 도입된 그린카드는 컵대회 여자부에서 9번이나 발생해 신속하게 경기를 속행할 수 있었다. 이 그린카드는 정규리그 기준, 투표 50%와 기록 50%(팀 기록 20%+그린카드 포인트 30%)로 향후 페어플레이상 점수에 반영되어 시즌 종료 후 시상한다. ■ 팬들이 만든 신인선수상의 새 이름, 영플레이어상 이번 시즌부터 신인선수상의 가치를 높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