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블로커 또는 센터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블로킹의 주축이 되는 포지션이다. 블로킹을 주로 하는 위치이기에 키가 큰 선수들이 주로 기용된다. 경기대학교 배구부 이상현 선수 역시 큰 키가 인상적인 선수였다. 2m의 신장을 가진 이상현 선수는 “센터는 공격과 블로킹의 중심에 있는 선수다. 센터가 잘하면 팀 점수에 큰 도움이 된다”며 자신의 포지션에 대해 설명했다. 이상현 선수는 고등학교 1학년 시절 처음 운동을 시작했다. 다른 선수들에 비해 시작이 늦었지만, 그에게는 큰 신장이 있었다. 그는 “중학교 3학년까지는 공부를 열심히 했다. 키가 195cm까지 큼과 더불어 공부에 흥미를 잃었다”며 “당시 농구를 취미로 하고 있었지만, 늦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고등학생 때 농구를 시작했다. 늦게 시작했지만, 좋은 선수들 중에서도 고등학교부터 시작한 경우가 꽤 있다”고 말했다. 경기대학교 배구부는 지난 4월 5일 후인정 감독이 프로배구팀 KB 손해보험으로 팀을 옮겼다. 신경수 감독이 1일부터 지휘봉을 잡았지만, 공백이 없었던 건 아니다. 그는 “우리 선수들 모두 좋은 생각을 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주장인 (양)인식이 형의 말을 듣고 이를 유지했다. 새로운 감독님이
‘배구는 세터 놀음’이라는 말이 있다. 공격수들이 공격을 하기 위한 토스를 올려주는 포지션인 세터는 ‘코트 안 사령관’이라 불리며 게임메이커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공격으로 점수를 이끌어내는 세터는 배구의 중심이다. 배구 명문으로 이름을 날렸던 경기대학교 배구부. 현재 팀의 공격을 진두지휘하는 선수는 유일한 4학년 양인식 세터다. 주장직을 함께 맡고 있는 그는 연습하는 내내 파이팅을 불어넣는 선수다. 양인식 선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배구를 시작했다. 당시 다니던 학교에서 배구부 선수를 모집하고 있었는데, 큰 키를 가지고 있어 제의를 받았다”면서 “처음 배구부에 들어가 보니 공격수 포지션에는 나보다 더 큰 선수가 있어 세터 포지션을 맡게 됐다”고 말했다. 고등학교 시절 우승한 경험이 있는 양인식 세터이지만 대학교 무대는 사뭇 달랐다. 그는 기량이 좋은 선배들의 영향으로 2년간 경기 출전에 어려움을 겪었다. 양 세터는 “기존에 하던 토스폼을 변경했다. 걱정은 되지만 연습을 하다 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다”며 “작년부터 제대로 경기에 나서고 있다. 빨리 폼을 찾는 것이 우선”이라고 답했다. 이어 “배구는 세터가 어떻게 하냐에 따라 팀이 달라진다. 세터
KB손해보험의 감독으로 부임한 후인정 前 경기대학교 감독을 대신해 지난 1일 경기대학교 배구팀의 감독에 오른 신경수 감독. 경기대학교 감독직을 수행한지 10여 일이 지난 그는 이제 선수들의 장점과 단점 등 파악을 끝마쳤다고 한다. 12일부터 시작되는 2021 KSUF 대학배구 U-리그를 앞두고 어떤 각오로 대회를 준비 중인지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신경수 감독은 “선수들과 훈련한 시간이 너무 짧다 보니 부담감을 갖지 않고 경기에 나갈 예정이다”면서 “훈련한다는 생각으로 참가한다. 최소 2~3달이 지나야 전술이 익숙해질 것이다. 그렇다고 지는 것에 익숙하지는 않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어려운 점은 그동안 선수 수급의 문제가 있어 선수층이 얇다는 것이다. 그래도 짧은 시간이지만 선수들이 변화한 점이 보인다”고 덧붙였다. 배구 명문이라 불리던 경기대학교는 2019년 대회를 끝으로 순위권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 감독은 모교의 사령탑에 올라 예전의 명성을 회복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6명이 함께 호흡을 맞추는 배구에서 가장 중요한 포지션 중 하나가 토스로 선수들의 공격을 지휘하는 세터일 것이다. 신 감독도 세터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 팀 세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