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장애인체육회가 제22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서 5년 만에 종합우승을 일군 경기도 선수단을 초청해 격려했다. 도장애인체육회는 2일 수원 라메르i 아무르 1홀에서 '제22회 전국장애인동계체육대회 경기도 선수단 해단식'을 개최했다. 이날 해단식에는 백경열 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과 박래혁 경기도청 문화체육관광국장, 황대호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동계종목 단체장, 지도자·선수 등 총 50여명이 참석했다. 경기도는 2월 11일부터 14일까지 강원도 일원에서 진행된 전국장애인동계체전서 금 21개, 은 13개, 동메달 18개 등 총 52개 메달을 획득, 종합점수 2만9050.60점을 얻어 종합우승기를 손에 넣었다. 경기도가 전국장애인동계체전서 우승을 차지한 것은 2020년 제17회 대회 이후 5년 만이다. 박래혁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우승기 봉납식에서 백경열 사무처장에게 건내 받은 우승기를 힘차게 흔들며 종합우승을 자축했다. 이후 진행된 포상금 전달식에서는 전국장애인동계체전 종목 2위에 입상한 도장애인스키협회와 도장애인빙상경기연맹에 대해 각각 500만 원의 포상금을 수여했다. 종목 3위를 차지한 도장애인컬링협회, 도장애인아이스하키협회에게는 포상금 300만 원을 수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의 열기를 잇겠다는 것은 구두선에 지나지 않았다. 제106회 대회는 시작부터 끝까지 '썰렁한 축제'였다. 선수들은 눈밭과 빙판 위에서 뜨거운 열정을 쏟아 부으며 하얼빈의 열기를 이어 받은 반면 텅텅 빈 관중석은 얼마 있지 않은 관중마저 자리를 지키는 것을 무안하게 할 만큼 썰렁했다. 18일부터 21일까지 4일 동안 강원도 일원에서 진행된 제106회 대회는 전국 17개 시·도 4251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빙상, 컬링, 크로스컨트리 등 8개 종목에서 각 지역의 명예를 건 한판 승부를 펼쳤다. 제106회 대회 개막 전 개최된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은 금 16개, 은 15개, 동메달 14개를 획득, 동계 아시안게임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2017 삿포로)을 달성했다. 이런 상황에서 '개최지' 강원도를 비롯해 많은 언론들이 '하얼빈의 열기를 잇는다'며 제106회 대회를 홍보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그들만의 리그'로 진행됐다. 지난 1월 사전 경기로 진행된 빙상 종목에는 '한국 여자 쇼트트랙 간판' 최민정과 '차세대 에이스' 김길리(이상 성남시청), 심석희, 박지원(이상 서울시청), '新 빙속
"경기도민께 전국동계체전 종합우승 22연패라는 역사적 순간을 선물할 수 있어 진심으로 기쁩니다." 21일 강원도 일원서 종료된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종합우승을 차지한 이원성 경기도선수단장(경기도체육회장)은 "이번 대회서 보여준 선수, 지도자들의 열정과 뛰어난 성과에 감사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기도는 제106회 대회서 역대 최고 종합점수(1498.5점)와 역대 최다 메달(296개)을 획득, 22회 연속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이 단장은 "경기도가 전국동계체전서 22회 연속 정상을 차지해 '체육웅도'의 면모를 널리 알렸다"며 "종합우승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은 김동연 경기도지사님과 황대호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1415만 경기도민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했다. 그는 경기도가 대한민국 체육 역사에 큰 획을 그었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약점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의 열기를 이번 대회까지 이어오지 못해 아쉽다"는 이 단장은 "빙상 종목이 사전경기로 진행되면서 최민정, 김길리, 김민선 등의 스타들을 본 대회 기간동안 볼 수 없었고, 이는 대회에 대한 관심도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국동계체전의 관심을 높이
경기도가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종합우승을 차지하며 22연패를 달성했다. 도는 지난 21일 막을 내린 제106회 전국동계체전서 금 106개, 은 104개, 동메달 86개 등 총 296개의 메달을 획득, 종합점수 1498.5를 얻어 '라이벌' 서울(1093점, 금 53·은 55·동 47), '개최지' 강원(868점, 금 40·은 34·동 42)을 가볍게 제치고 종합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국내서 열리는 전국종합체육대회서 한 시·도가 22회 연속 정상을 지킨 것은 도가 최초다. 또한 도는 제105회 대회서 작성했던 역대 최고 종합점수(종전 1461점)와 최다 메달(종전 287개)을 이번에도 경신했다. 이밖에 도는 사전경기로 진행된 빙상에서 21회 연속 종목우승을 차지했고 컬링에서는 7회 연속 종목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또 바이애슬론은 2연패를 달성했으며 스키에서는 15년 만에 종목우승을 차지했다. 아이스하키는 서울에 이어 준우승했다. 도는 4관왕 4명을 비롯해 총 33명의 다관왕을 배출했다. 빙상 스피드스케이팅서는 여자 18세 이하부 임리원(의정부여고)과 여자 15세 이하부 박서현(성남 서현중), 남자 12세 이하부 이태성(의정부스포츠클럽)이 나란
경기도가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종합우승의 9부 능선을 넘었다. 도는 20일 오후 6시 현재 강원도 일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회 3일째 금 91개, 은 93개, 동메달 77개 등 총 261개의 메달을 획득, 종합점수 1069.5를 얻어 2위 '라이벌' 서울(777점, 금 46·은 48·동 40)과 격차를 더 벌렸다. 3위는 '개최지' 강원(575점, 금 31·은 24·동 31)이 자리했다. 도는 바이애슬론 종목에서 3관왕 두 명을 배출했다. 바이애슬론 남자 18세 이하부 혼성계주·스프린트 10㎞ 우승자 조나단(포천 일동고)은 집단출발 15㎞에서 38분29초3으로 유현민(일동고·40분15초1)과 황태령(강원 황지고·40분35초2)을 꺾고 세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바이애슬론 여자 12세 이하부 개인경기 4㎞에서는 전태희(포천 일동초)가 18분14초4를 기록, 같은 학교 후배 박서윤(18분17초7)을 3.3초 차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이로써 전태희는 혼성계주, 스프린트 3㎞ 우승에 이어 3관왕이 됐다. 바이애슬론 혼성계주서 경기선발의 우승에 힘을 보탰던 고동규(포천 G스포츠클럽)는 남자 12세 이하부 개인경기 3㎞서 16분06초3으로 금메달을 획득, 2
변지영(경기도청)이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2관왕에 올랐다. 변지영은 19일 강원도 평창군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센터에서 열린 대회 2일째 남자일반부 크로스컨트리 프리 15㎞에서 38분20초8을 기록하며 정종원(부산시체육회·37분50초1)에 뒤져 2위에 입상했다. 그러나 클래식 10㎞와 프리 15㎞를 합한 복합에서 1시간05분52초6을 기록, 정종원(1시간6분08초3)과 이진복(평창군청·1시간06분44초6)을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 이로써 변지영은 전날 클래식 10㎞ 우승에 이어 2관왕에 올랐다. 바이애슬론 18세 이하부 혼성계주서 우승을 맛봤던 조나단(포천 일동고)은 스프린트 10㎞에서 28분12초3으로 황태령(강원 황지고·29분06초9), 박민용(전북 무풍고·29분40초6)을 앞서 두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바이애슬론 여자 12세 이하부 스프린트 3㎞에서는 전태희(포천 일동초)가 12분50초8을 마크해 같은 학교 후배 박서윤(12분53초7)을 2.9초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섰다. 전태희는 전날 혼성계주 우승에 이어 2관왕이 됐다. 스키알파인 여자 12세 이하부 대회전에서는 김세인(성남 정자초)이 1분07초55를 주파하며 강래경(서울프랑스학교·1
"초등학생으로 참가하는 마지막 대회인데 개인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게 돼 너무 기뻐요" 19일 강원도 평창군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센터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일째 바이애슬론 여자 12세 이하부 스프린트 3㎞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전태희(일동초)의 소감이다. 전태희는 이날 12분50초8을 기록하며 같은 학교 후배 박서윤(12분53초7)을 2.9초 차로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사격에서 단 한 발로 메달의 색이 결정됐다. "(박)서윤이에게 질 것 같았는데 이겨서 기쁘다"고 입을 연 그는 "저는 사격에서 표적을 모두 맞췄지만 서윤이는 한 발을 놓쳤다. 사격에서 승부가 갈린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손루이(남양주 주곡초), 고동규(포천 G-스포츠클럽), 박서윤과 팀을 이뤄 출전한 12세 이하부 혼성계주에서 우승을 차지한 전태희는 이로써 대회 2관왕에 올랐다. 전태희는 지난해 제105회 대회서도 계주에서 메달을 따냈다. 하지만 개인 종목인 스프린트 3㎞에서 18위에 그치는 등 다소 부진해 입상하지 못하고 아쉽게 돌아서야 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절치부심하며 꾸준한 훈련으로 기량을 높인 전태희는 계주와 함께 개인종목에서도 마침내 우승을 이끌어냈다. 지난해
"전국동계체육대회 첫 출전인데 우승을 하게 되어 기뻐요. 결승에서 멋진 경기를 펼칠 수 있게 해준 동료와 상대팀에게 감사합니다." 18일 충북 진천선수촌 컬링장에서 열린 제2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컬링 여자 18세 이하부에서 정상을 차지한 의정부 송현고 스킵(주장) 김아연은 상대팀에 대한 존중과 동료에 대한 감사로 우승 소감을 대신했다. 스킵 김아연, 서드 이수빈, 세컨드 황예지, 리드 원보연, 핍스 김하랑으로 팀을 구성한 송현고는 강원 유봉여고와 결승에서 10엔드 접전 끝에 6-5로 이겼다. 이로써 송현고는 제104회 대회 우승 이후 2년 만에 정상 탈환에 성공했다. 송현고의 이번 대회 우승의 중심에는 스킵 김아연이 있었다. 김아연은 고등학교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차분함과 뛰어난 전략으로 당당히 스킵을 꿰찼다. 컬링에서 스킵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경기 중 감독, 코치의 간섭이 없는 종목 특성 상 스킵의 기량에 따라 경기 결과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김아연은 전국동계체전 첫 출전임에도 불구하고 동료들을 이끌며 당당히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김아연은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경기 중에는 팀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생각한다"며
국내 최고 겨울스포츠 축제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가 화려한 개회식을 갖고 4일간 열전에 돌입했다. 18일 강원도 평창군 모나용평 블리스힐스테이에서 진행된 제106회 대회 개회식에는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당선인,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 김진태 강원도지사, 이원성 경기도선수단장(경기도체육회장), 17개 시·도 선수단 등 총 350여명이 참석했다. '특별한 강원의 겨울,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한 개회식은 선수단 입장을 시작으로 유승민 당선인의 개회선언,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환영사, 대회기 게양, 선수·심판대표 선서, 성화 점화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선수단 입장에서는 제주도 선수단이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냈고, 이번 대회서 22회 연속 종합우승에 도전하는 경기도 선수단은 15번째로 입장했다. '개최지' 강원도 선수단은 피날레를 장식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선수 여러분께서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과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시길 바란다"면서 "여러분의 땀과 열정이 모여 동계스포츠의 열기를 이어가고 대한민국 동계스포츠의 새로운 도약을 이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후 진행된 선수·심판대표 선서에서는 크로스컨트리에 출전하는 이하빈과 바이애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22회 연속 종합우승에 도전하는 경기도가 금빛 스타트를 끊었다. 도는 18일 강원도 일원에서 진행된 대회 첫 날 경기에서 금메달 5개를 획득했다. 이로써 도는 이날 오후 6시 기준 금 74개, 은 69개, 동메달 58개 등 총 201개의 메달을 획득, 종합점수 709점을 얻어 선두를 달리고 있다. 2위는 서울(568점, 금 40·은 41·동 31), 3위는 인천(224.5점, 금 5·은 13·동 11)이 자리했다. 도는 크로스컨트리 종목서 금 2개를 획득했다. 지난 대회 4관왕 변지영(경기도청)은 이날 크로스컨트리 남자일반부 클래식 10㎞ 결승에서 27분31초8을 기록하며 이진복(평창군청·28분16초0)과 정종원(부산시체육회·28분18초2)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크로스컨트리 여일부 클래식 5㎞에서는 한다솜(경기도청)이 15분48초5를 달려 '라이벌' 이의진(부산시체육회·15분49초2), 이지예(평창군청·16분18초1)를 꺾고 패권을 안았다.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센터서 열린 12세 이하부 혼성계주에서는 손루이(남양주 주곡초), 고동규(포천 G-스포츠클럽), 전태희, 박서윤(이상 포천 일동초)으로 팀을 꾸린 경기선발이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