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자 스노보드 간판’ 이채운(군포 수리고)이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 2관왕에 올랐다. 이채운은 1일 강원도 횡성군 웰리힐리파크 스키 리조트에서 열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결선에서 88.50점을 얻어 알레산드로 발비에리(미국·84.75점)와 류세이 야마다(일본·83.00점)를 제치고 우승했다. 이로써 이채운은 앞서 열린 남자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우승에 이어 대회 2관왕에 등극했다. 예선에서 89.50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결선에 오른 이채운은 결선 1차 레이스에서 87.25점을 받아 1위에 오른 뒤 2차 레이스에서도 88.50점으로 사실상 우승을 확정지었다. 3차 레이스에서 맨 마지막 순서로 나온 이채운은 앞서 경기를 치른 9명의 선수들이 모두 자신의 2차 레이스 점수보다 낮아 금메달이 확정되자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며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에게 팬 서비스를 했다.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빙상 피겨스케이팅 팀 이벤트에서는 김지니-이나무 조(이상 경기도빙상경기연맹)가 금메달을 추가했다. 김지니-이나무 조는 피겨 팀 이벤트 아이스댄스 프리댄스에서 기술점수(TES) 44.37점, 예술점수(PCS) 37.78점, 합계 82.15
‘한국 남자 스노보드 기대주’ 이채운(군포 수리고)이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채운은 25일 강원도 횡성군 웰리힐리파크 스키 리조트에서 열린 대회 7일째 스노보드 남자 슬로프스타일 결승에서 96.00점을 획득해 엘리 부샤르(캐나다·90.00점)와 로맹 알레망(프랑스·89.25점)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채운의 이날 메달은 쇼트트랙 남자 1500m의 주재희(서울 한광고), 봅슬레이 남자 모노봅 소재환(강원 상지대관령고)에 이어 대한민국 선수단의 3번째 금메달이다. 2006년 4월생인 이채운은 2022년 베이징 대회 때 한국 선수단 최연소 선수로 성인 동계올림픽 무대를 밟고 한국 스노보드의 간판으로 성장해 온 선수다. 이채운은 지난해 3월 국제스키연맹(FIS) 세계선수권대회 땐 남자 하프파이프에서 역대 최연소 기록(16세 10개월)으로 우승하며 한국 스키·스노보드 사상 최초의 세계선수권대회 입상을 금메달로 장식한 바 있다. 이번 시즌에는 지난달 월드컵 하프파이프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하나씩 획득하며 성인 레벨에서 ‘월드 클래스’로 인정받고 있다. 하프파이프를 주 종목으로 삼지만, 슬로프스타일과 빅에어도 세계 수준에서 경쟁
경기도레슬링협회가 내년 5월 전남일원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53회 전국소년체육대회를 대비한 동계 합동강화훈련을 진행했다. 도레슬링협회는 지난 29일부터 12월 1일까지 2박 3일 동안 강원도 평창군 평창국민체육센터에서 전국소년체전 대비 합동 훈련을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합동훈련에는 수원, 용인, 성남, 부천, 안산, 평택 등 도내 10개 학교와 2개 클럽 등 12개 팀에서 중학생 60여명과 지도자 10명 등 70여명이 참여했다. 도레슬링협회는 합동훈련 첫 날인 29일 오후 신현길 평택 도곡중 코치와 이수용 수원 수일중 코치가 각각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 기술 교육을 진행했다. 이어 훈련 이틀째인 30일 오전에는 윤창희 도레슬링협회 사무국장이 경기운영 방법 및 룰 강습을 진행했고 오후에는 학생 선수 및 지도자가 모두 참여해 단체 기초체력 훈련과 기술훈련, 스파링을 통한 실전훈련 등을 실시했다. 합동훈련 마지막 날인 12월 1일에는 2시간여에 걸쳐 합동 마무리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 윤창희 도레슬링협회 사무국장은 “경기도 레슬링 꿈나무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합동훈련을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선수들이 미처 알지 못했
대한민국 선수단이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8년 만에 ‘노메달’로 대회를 마무리 했다. 우리나라는 당초 동메달 2개를 획득해 종합 25위권 진입을 목표로 삼았지만 한 개도 획득하지 못한 채 대회를 마쳤다. 우리나라가 동계 패럴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건 2014년 소치 대회 이후 8년 만이다. 1992년 열린 제5회 프랑스 티뉴-알베르빌 대회에 처음 출전한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 대회까지 꾸준히 참가해 통산 금 1개, 은 2개, 동메달 2개를 수확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에서 알파인스키 한상민이 첫 메달인 은메달 1개를 획득한 우리나라는 2010년 밴쿠버 대회 휠체어컬링에서 은메달 1개를 추가했고 안방에서 열린 2018 평창 대회 때 금 1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6위를 기록,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로부터 4년 뒤 열린 베이징 대회에서 빈손으로 귀국하게 됐다. 우리나라는 평창에서 한국의 사상 첫 동계패럴림픽 금메달을 따낸 장애인노르딕스키 간판 신의현(42·창성건설)과 이번 대회 한국 선수단의 ‘최연소’ 국가대표인 알파인스키 최사라(19·서울시장애인스키협회), 휠체어컬링의 ‘팀 장윤정고백’(
우리나라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에스토니아에 이어 영국까지 제압하고 4강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팀 장윤정고백’으로 불리는 우리나라 대표팀은 9일 중국 베이징 국립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예선 라운드 8차전에서 영국을 8-6으로 따돌렸다. 4승 4패가 된 우리나라는 11개 팀 중 라트비아, 미국과 함께 공동 5위로 올라섰다. 우리나라는 남은 미국, 스웨덴 전에서 모두 승리할 경우 4강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에스토니아 전에 이어 영국 전에서도스킵 장재혁(51), 리그 백혜진(38), 세컨 윤은구(53), 서드 정성훈(44), 후보 고승남(37·이상 의정부 롤링스톤)으로 팀을 구성했다. 1엔드에 3점을 따내며 기선을 잡은 우리나라는 2엔드에 1점을 내준 뒤 3엔드에 2점을 추가, 5-1로 앞서갔다. 4엔드에 2점을 내준 뒤 5엔드에 1점을 빼앗기며 5-4, 1점 차까지 추격을 허용한 우리나라는 6엔드에 2점을 뽑아 7-4로 점수 차를 벌린 뒤 7엔드에 2점을 허용, 7-6으로 다시 쫒겼다. 그러나 8엔드 후공을 잡은 우리나라는 7엔드에 흔들렸던 세컨 윤은구를 고승남으로 교체했고 치열한 공방이 이어진 끝에 장재혁이
우리나라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3승째를 올리며 4강 진출 희망을 이어갔다. ‘팀 장윤정고백’으로 불리는 우리나라 휠체어컬링팀은 9일 중국 베이징 국립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린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휠체어컬링 예선 라운드 7차전에서 에스토니아를 5-2로 제압했다. 예선 10경기 중 7경기를 치른 우리나라는 3승 4패로 11개 팀 중 8위로 올라섰다. 전날 선수 구성의 변화를 주며 예선 라운드 1위였던 캐나다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던 우리나라는 이날 또다시 선수 구성에 변화를 준 채 에스토니아를 상대했다. 백혜진(39)이 리드, 윤은구(53)가 세컨, 정성훈(44)이 서드로 출전했고 스킵은 장재혁(51)이 맡았다. 예선 라운드 초반 3경기에서 스킵을 맡았던 고승남(37)은 후보로 빠졌다. 의정부롤링스톤 소속으로 구성된 우리나라는 우리의 후공으로 시작한 1엔드에 1점을 선취하며 기분좋은 출발을 보인 뒤 에스토니아가 후공을 맡은 2엔드에 상대 실수로 블랭크 엔드가 되며 1-0으로 앞서갔다. 3엔드에 다시 2점을 뽑은 우리나라는 4엔드에 1점을 내줘 3-1로 추격을 허용했지만 4엔드와 5엔드에 잇따라 1점씩을 추가해 5-1로 접수 차를 벌리며 승
우리나라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하룻동안 천당과 지옥을 오가며 희비가 교차됐다. ‘팀 장윤정고백’으로 불리는 우리나라 휠체어컬링팀은 8일 중국 베이징 국립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린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휠체어컬링 예선 5차전에서 예선 라운드 1위 캐나다를 9-4로 제압했지만 이어 열린 6차전 슬로바키아와 경기에서는 2-7로 완패를 당했다. 이날 경기로 2승 4패가 된 우리나라는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며 4강 진출이 불투명해졌다. 우리나라는 남은 4경기에서 최소 3승 이상을 거둬야만 4강 진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어 4강까지 가는 길이 험난해졌다. 이날 오전만 해도 우리나라 대표팀은 4강 진출의 희망을 살리는 듯했다. 전날까지 1승 3패로 4강 진출에서 멀어지는 듯했던 우리나라는 예선 1위 캐나다를 맞아 선수 구성에 변화를 줬다. 리드 백혜진(39)이 스킵을 겸해 첫번째로 투구하고 후보였던 윤은구(53)를 세컨으로, 스킵을 맡았던 고승남(37)을 서드로 기용하고 서드였던 장재혁에게 바이스 스킵을 맡게 네번째로 투구하게 했다. 세컨이었던 정성훈(44)은 후보로 돌렸다. 의정부롤링스톤 소속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우리나라의 선공으로 시작된 1엔드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서 메달 획득에 도전하는 우리나라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3패째를 당하며 4강 진출에 ‘적신호’가 켜졌다. 선수들의 성을 따 ‘팀 장윤정고백’으로 불리는 우리나라 휠체어컬링팀은 7일 중국 베이징 국립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린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휠체어컬링 예선 4차전 중국과 경기에서 4-9로 대패했다. 스킵 고승남(37), 리드 백혜진(39), 세컨드 정성훈(44), 서드 장재혁(51), 후보 윤은구(53·이상 의정부롤링스톤)로 구성된 우리나라는 이날 스킵 고승남의 스로우 미스가 수 차례 나오며 득점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여러 차례 놓쳤고 결국 5점 차로 크게 졌다. 1차전에서 라트비아에 4-8, 2차전에서 스위스에 7-8로 패했던 우리나라는 전날 3차전에서 노르웨이를 9-4로 따돌렸지만 중국에 패하며 1승 3패가 됐다. 우리나라는 남은 6경기에서 최소 4승 이상을 거둬야만 4강 진출 희망을 이어갈 수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이 후공을 잡은 1엔드에 2점을 내줬지만 2엔드에 곧바로 3점을 뽑아 역전에 성공했다. 3엔드를 1점으로 막은 우리나라는 4엔드를 스틸당하며 1점을 내줘 3-4로 역전을 허용했다. 후공을 잡은 5엔드에 1점을 얻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