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자천하국가지대본야(農者天下國家之大本也)’, 농사는 천하의, 국가의 가장 큰 근본이다. 선사시대부터 인류와 함께 해온 농업의 역사가 펼쳐진다.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식량으로서 농업부터 하나의 문화가 된 농업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수원 국립농업박물관에서 열린 첫 번째 기획전 ‘농農, 문화가 되다’에서는 문화와 예술의 관점에서 농업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1부 ‘Agri+Culture’에서는 농사가 시작된 선사 시대의 유물과 농사에 사용된 문자를 통해 농업에 대해 알아본다. 2부 ‘농업, 먹거리, 삶’에서는 농사를 중요시했던 선조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기록물과 근현대 생활 자료를 중심으로 농업의 의미를 되짚어 본다. 3부 ‘삶 속의 예술, 농업’에서는 현대 작가의 눈으로 새로 해석하고 마감을 더한 작품들을 통해 예술로서의 농업을 보여준다. 1부 ‘Agri+Culture’에는 청동기 시대 안동 저전리에서 출토된 왕겨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신석기 시대부터 농사가 시작됐는데, 청동기 시대로 갈수록 잡곡과 벼가 출토된다. 곡성 오지리 및 나주 운곡동 유적 출토 종자도 볼 수 있다. 2부 ‘농업, 먹거리, 삶’에서는 농경지를 개간하던 삼국시대부터 계단식 논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이 오는 9월까지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를 열고 83건 196점의 국보와 보물을 선보이는 가운데 전시를 찾는 남녀노소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번 전시는 문화재청(문화재청장 정재숙)과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 개최하는 특별전으로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157건의 문화재 가운데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사상 최대 규모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오랜 기간 휴관 중이던 국립중앙박물관은 7월 22일 재개관하고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앞서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가장 많은 양의 좋은 유물을 만나는 기회”라고 소개했으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도 지난달 30일 운영을 재개한 국립문화예술 시설의 방역 상황을 점검하고 국민들이 안전한 문화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해당 전시장을 방문했다. 특히 오는 14일부터 23일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등이 ‘2020 박물관·미술관 주간’ 행사를 진행하는 만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를 관람해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지난 7월 31일 찾은 국립중앙박물관에